백발노인이 연주한 청춘의 선율…모차르트 앞에 선 ‘건반 위의 구도자’

백발노인이 연주한 청춘의 선율…모차르트 앞에 선 ‘건반 위의 구도자’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6-13 05:00
수정 2024-06-13 05: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백건우가 11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공연을 마친 후 관객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류재민 기자
백건우가 11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공연을 마친 후 관객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류재민 기자
음악사에 위대한 업적을 남겼지만 의외로 모차르트는 이른 나이에 죽은 청년이다. 1756년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난 그는 35세의 나이인 1791년 오스트리아의 수도 빈에서 죽었다. 모차르트의 음악이 영원한 청춘의 선율인 이유다.

그런 모차르트의 음악이 백발의 노인의 손에서 연주됐다. 지난 11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 ‘백건우와 모차르트’를 통해서다.

‘건반 위의 구도자’로 이미 많은 사람에게 알려진 피아니스트지만 백건우(78)가 모차르트 프로그램으로 관객과 만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매년 다른 작곡가의 삶과 음악을 조망하고 탐구하며 치열하게 고민해온 그는 지난달 발매한 첫 모차르트 앨범을 기념해 콘서트를 열었다.

인류사에 길이 남을 천재였기에 ‘모차르트다움’이 뭔지, 어떻게 하면 모차르트를 제대로 보여줄 수 있는지는 누구에게나 어려운 문제다. 수십년간 피아노를 연주해온 백건우에게도 모차르트는 고민의 대상이었다고 한다. 모차르트 음악 어딘가에 살아있는 순수함을 어떻게 전달하면 좋을까 하는 생각 때문에 섣불리 음반 작업을 할 수 없었다. 그러던 그는 모차르트가 악보에 담아낸 음악을 어린아이의 ‘순수함’에서 답을 찾아냈고 그 속에서 마주한 자신과의 대화를 통해 또 다른 도전에 나섰다.

이날 그는 ‘환상곡 d단조 K.397’, ‘론도 D장조 K.485’, ‘피아노 소나타 12번 F장조 K.332’로 1부를 채웠다. 2부에서는 ‘안단테 F장조 K.616’, ‘아다지오 b단조 K.540’, ‘지그 G장조 K.574’, ‘환상곡 c단조 K.396’, ‘전주곡과 푸가 C장조 K.394’를 선보였다.
이미지 확대
공연 후 사인하는 백건우. 류재민 기자
공연 후 사인하는 백건우. 류재민 기자
악보를 마치 하나의 경전처럼 바라보며 그 속에 숨은 의미를 찾아내듯 백건우는 차분히 연주를 이어 나갔다. 모차르트 선율 특유의 경쾌함은 그 분위기 때문에 어쩐지 젊은 연주자에 더 어울리는 듯하지만 백건우는 자신만의 색채를 입혀나가며 관객들에게 천천히 백건우의 모차르트를 물들였다.

백건우는 잘 알려진 작품과 거의 알려지지 않은 작품을 함께 선곡해 모차르트의 진면모를 소개하는 데 공을 들였다. 앞뒤로 연결되는 곡들의 조성과 음악적 특성, 곡을 이루는 주제의 성격에 통찰력을 발휘해 익숙한 곡에는 새로운 면모를, 익숙하지 않은 곡에는 의외의 면모를 발굴해냈다.

그는 때로는 곡과 곡 사이 여백을 짧게 두면서 하나의 이야기로 엮으려는 해석을 보여줬고 또 때로는 구분을 두어 자신만의 호흡으로 모차르트를 해석해냈다. 각자 지닌 모차르트에 대한 이미지는 다르겠지만 관객들은 백건우의 맑고 투명한 연주를 통해 보다 풍성하게 그려낼 수 있었다.

공연을 마친 그를 향해 엄청난 박수가 쏟아졌고 백건우는 수줍은 소년 같은 미소로 화답하며 관객들에게 인사했다. 공연이 끝난 뒤에는 엄청난 인파가 그에게 사인을 받기 위해 줄을 섰고 백건우는 무대에서 보였던 환한 그 미소 그대로 관객들과 눈을 맞추며 할아버지의 따뜻한 정을 선물했다.

지난달부터 공연을 이어가는 그는 15일 인천, 21일 경남 함안, 11월 20일 세종, 11월 22일 부산, 11월 23일 경기 평택에서 관객과 만날 예정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