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3 미래 세계사】비르지니 레송 지음 휴머니스트 펴냄
서문에다 못을 박아뒀다. “지구의 미래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자원고갈, 물부족, 지구온난화, 저성장과 고령화, 인구폭증 등 말만 들어도 골치 아픈 각종 인구 생태 환경 문제를 다루는 저자의 태도는, 조금 추상적으로 들릴지 몰라도 몹시 ‘근대적’이다.2005년 국제경제에서 각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 해당 지역의 생태적 무게는 그 지역의 인구 규모보다는 경제적 부와 더 관련돼 있음을 나타낸다. 생태 환경 보호를 위해서는 인구증가 추세를 둔화시켜야 한다기보다 경제적 소비 형태를 바꿔야 한다는 의미다.
휴머니스트 제공
휴머니스트 제공
‘2033 미래 세계사’(비르지니 레송 지음, 권지현·남윤지 옮김, 휴머니스트 펴냄)가 ‘근대적’인 까닭은 미련한 멍청이도, 소심한 겁쟁이도 아닌 충분히 사태를 파악해서 대비책을 마련할 수 있는 존재로서 인간을 대하기 때문이다. 호들갑 떨지 말라는 것이다. “미래에 대한 두려움은 현재 진행 중인 생태계의 급변이 얼마나 심각한지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매우 편리한 방편”이지만 “이런 논리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면 역효과가 난다”는 것이다.
가령 저자는 녹색성장 구호를 두고 “데우스 엑스 마키나처럼 나타났다”면서 “여전히 모호한 개념”이라 지적하더니 “환경을 보존해야겠다는 걱정보다는 성장에 필요한 자원을 잘 관리해야 한다는 입장이 앞서 있다”고 꼬집어뒀다. 곡물과 물 부족 우려에 대해서도 인구학자 맬서스의 예전 잘못을 반복하는 데 지나지 않는다고 일축한다. 중요한 건 기아와 빈곤 그 자체가 아니라 거기에 대응하려는 정치적 수단의 문제라 지적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아마르티아 센의 주장도 소개해 두는 방식이다.
때문에 시원한 그래픽들이 좋다. 판단과 행동을 뒷받침하는 것은 탄탄한 데이터일 터. 인구 생태 환경 문제에 대한 각종 기초 자료들을 세련된 색채와 디자인으로 총정리해 뒀다. 인구 환경 생태 문제를 논하는 자리에서라면 기초 텍스트로도 쓸 만하다. 한국 사례도 있으니 찾아보길. 2만 7000원.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1-1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