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대니얼 골먼 지음/박세연 옮김/리더스북/412쪽/1만 8000원
어느 한 곳에 관심과 주의를 쏟는 집중력은 성과를 창출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각종 디지털 기기에 둘러싸여 사는 현대인은 집중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면서도 정작 실생활에서 발휘하기가 쉽지 않다. 교육 현장에서도 짧고 단절적인 문자 메시지에 익숙한 학생들의 독서능력 저하가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그래서 최근 2~3년 새 그 ‘멈출 수 없는 산만의 시대’에 집중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학계의 연구가 세계적으로 크게 번지고 있는 상황이다.
‘포커스’는 바로 그 집중을 세밀하게 파고든 흥미로운 책이다. 저자는 국내에도 ‘EQ, 감성지능’이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로 잘 알려진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경영사상가다.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집중’과 ‘주의’에 집중한 성과물이 바로 ‘포커스’다. ‘당신의 잠재된 탁월함을 깨우는 열쇠’라는 부제가 암시하듯 책은 여지껏 주목받지 못한 채 저평가된 정신적 자산, 즉 집중의 탁월한 성공 사례들을 자세히 보여 준다. 스포츠, 교육, 예술, 비즈니스 등 다양한 현장의 풍부한 사례 연구를 제시하면서 성과를 높이기 위해 왜 주의 집중이 필요한지,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무슨 훈련이 필요한지 알려 주는 흐름이다.
눈에 띄는 대목은 그 사례들이 딱히 한군데로 모아진다는 부분이다. ‘주의력과 집중력은 근육과 매우 흡사한 형태로 움직이기 때문에 훈련을 통해 강화할 수 있다.’ 사람의 마음 근육, 특히 주의력은 충분히 사용하지 않으면 위축되고 잘 사용하면 점점 발달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주의력 집중을 세 가지 형태로 요약한다. 내적 집중과 다른 사람에 대한 집중, 그리고 외적 집중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에 모두 익숙해져야 하며 지금 당장 시선을 사로잡는 눈앞의 당면 과제에서 빨리 벗어날 것을 주문한다. 특히 리더들의 집중력이 매우 중요함을 역설한다. 리더가 집중하는 특정한 주제나 목표는 그를 따르는 사람들에게 주의력의 방향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집중력은 과연 어떤 성과와 성공을 위한 것일까. 이 대목에서 저자는 대승적인 차원에서 날카로운 화두를 던진다. 개인적인 이익과 눈앞의 보상, 자신이 속한 작은 집단의 이익과 같은 개인적 목적을 위해 집중의 위력을 발휘한다면 인류라고 하는 종의 미래는 장기적인 차원에서 어둡다는 지적이다. 그래서 저자는 인류의 생존을 위해 이런 질문을 던져야 한다고 주문한다. “지금 우리가 하고 있는 일이 100년 뒤, 혹은 500년 뒤에 어떤 결과를 낳을 것인가?”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어느 한 곳에 관심과 주의를 쏟는 집중력은 성과를 창출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각종 디지털 기기에 둘러싸여 사는 현대인은 집중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면서도 정작 실생활에서 발휘하기가 쉽지 않다. 교육 현장에서도 짧고 단절적인 문자 메시지에 익숙한 학생들의 독서능력 저하가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그래서 최근 2~3년 새 그 ‘멈출 수 없는 산만의 시대’에 집중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학계의 연구가 세계적으로 크게 번지고 있는 상황이다.
눈에 띄는 대목은 그 사례들이 딱히 한군데로 모아진다는 부분이다. ‘주의력과 집중력은 근육과 매우 흡사한 형태로 움직이기 때문에 훈련을 통해 강화할 수 있다.’ 사람의 마음 근육, 특히 주의력은 충분히 사용하지 않으면 위축되고 잘 사용하면 점점 발달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주의력 집중을 세 가지 형태로 요약한다. 내적 집중과 다른 사람에 대한 집중, 그리고 외적 집중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에 모두 익숙해져야 하며 지금 당장 시선을 사로잡는 눈앞의 당면 과제에서 빨리 벗어날 것을 주문한다. 특히 리더들의 집중력이 매우 중요함을 역설한다. 리더가 집중하는 특정한 주제나 목표는 그를 따르는 사람들에게 주의력의 방향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집중력은 과연 어떤 성과와 성공을 위한 것일까. 이 대목에서 저자는 대승적인 차원에서 날카로운 화두를 던진다. 개인적인 이익과 눈앞의 보상, 자신이 속한 작은 집단의 이익과 같은 개인적 목적을 위해 집중의 위력을 발휘한다면 인류라고 하는 종의 미래는 장기적인 차원에서 어둡다는 지적이다. 그래서 저자는 인류의 생존을 위해 이런 질문을 던져야 한다고 주문한다. “지금 우리가 하고 있는 일이 100년 뒤, 혹은 500년 뒤에 어떤 결과를 낳을 것인가?”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4-03-0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