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필 통해 되돌아본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

연필 통해 되돌아본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17-03-17 22:50
수정 2017-03-18 00: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그래, 나는 연필이다/박지현 지음/퓨처미디어/368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디지털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며 손 편지를 쓰는 일도 드물어진 요즘 우리에게 연필은 어떤 존재일까. 어떤 이는 중지 첫 마디에 남아 있는 굳은살에서 세월을 더듬을 수 있겠다. 어떤 이는 ‘사랑은 연필로 쓰세요’라는 가수 전영록의 히트곡을 흥얼거리지 않을까. 또 다른 이는 이제 막 학교에 다니는 아이에게 곱게 깎은 연필을 쥐여 주며 셀렘을 느낄 수도 있겠다. 조금씩 추억이 돼 가는 연필이다. 그러나 한때는 흑연을 훔치기 위해 목숨을 걸던 사람이 있었고, 기술을 독점하고자 서로 빼앗으며 연필 깎는 행위를 법으로 금지하던 시절도 있었다. 미술, 음악, 문학 등 수많은 예술 작품들이 연필에서 비롯되기도 했다.

다큐멘터리 연출가인 저자는 2001년 역사가이자 공학자인 헨리 페트로스키가 지은 ‘연필’이라는 책을 읽고 지난해 SBS를 통해 ‘연필, 세상을 다시 쓰다!’라는 제목의 다큐를 내놓을 때까지의 15년 여정을 한 권의 책에 담았다. 저자는 다큐가 연필에 대한 추억에 집중된 측면이 있어 아쉽다며 책에서는 우리가 얼마만큼 일상의 작고 소소한 사물들의 가치를 간과하고 있는지 생각에 잠길 기회를 제공한다. 페트로스키, 연필 깎기 전문가 데이비드 리스, 연필심 조각가 달리 게티, 극사실주의 연필화가 디에고 코이, 흑연의 고향인 영국 보르데일 사람들이 저자에게 들려주는 연필 이야기는 우리가 잃어버린 가치에 대한 것들이다.

저자는 연필을 통해 자유와 자의식, 자존감을 일깨워 보라고 권한다. 최고가 되라고 부추겨지고 좀처럼 승부가 나지 않을 치열한 경쟁 속에서 얼굴 없이 살아가기 쉬운 현대 사회의 개개인은 연필이나 다름없다는 게 저자의 시선이다. 저자는 “연필을 제대로 들여다보고 그 가치를 알 때 내 삶도 행복해질 거라 믿는다”고 말한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7-03-18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