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니스트 박사의 사적인 서재] ‘토지’의 행간에서 읽는 인간의 품격

[칼럼니스트 박사의 사적인 서재] ‘토지’의 행간에서 읽는 인간의 품격

입력 2019-01-10 22:06
수정 2019-01-11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잃어버린 품격을 찾아서/김윤자 지음/생각의힘/232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품격이란 무엇일까. 이를테면 악다구니 쓰는 이웃과 지인들을 보면서 대거리하거나 일희일비하는 게 아니라 문학작품의 다양한 인간군상과 그들의 대화를 떠올리는 것쯤 되겠다. 그러면서 인생의 맛을 역사와 문학에서 찾아내는 것. 그것이 품격 아닐까. 이 책에서 그 ‘문학작품’은 박경리의 ‘토지’다.

‘토지’는 1897년부터 1945년까지 우리나라가 격동하던 근현대사의 기간에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어떻게 대처하고 살아남고 뜻을 폈는지 그린 소설이다. 소설 자체가 다루는 세계의 규모도 크지만, 집필에 관련된 숫자도 남다르다. 26년, 소설이 집필된 시간. 4만여장, 소설이 펼쳐진 원고지의 분량. 600여명, 소설에 등장하는 사람들. 작가 박경리의 머릿속에 펼쳐지던 드넓은 세상은 펜 끝을 거쳐 독자에게도 함께 울고 웃을 수 있는 세상이 됐다. 계급적 차이가 생각의 차이로 확장되는 순간에 송장환과 길상의 대화를 떠올리고, 선명하고 날카로운 적의가 드러나는 순간에 자유로운 인간이었던 목수 윤보의 말을 생각할 수 있게 됐다.

이 책의 저자 김윤자는 바로 그 세계로 독자들을 불러와, 함께 인간의 품격에 대해 이야기한다.

저자는 경제학자다. 청주여자상업고교를 나와 공무원 생활을 하며 야간대학 법학과를 졸업하고, 이후 신문기자로 근무하다 1980년 전두환 군부의 언론탄압사태로 강제 해직되면서 서울대 대학원 경제학과로 진학해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는 굴곡의 삶을 거쳤다.

‘토지’와 같은 시대는 아니었지만, 이후로 이어진 엄혹한 역사 속에서 그는 ‘토지’의 인물들처럼 자신의 자리를 찾고자 다양한 선택의 갈림길에 맞서야 했을 것이다. 그가 ‘토지’를 처음 읽었던 때는 강제 해직 이후 대학원 시험을 치르고 합격자 발표를 기다리던 때였다고 한다. 대학원에 떨어진다면 더는 견디기 어려울 것 같았던, 백척간두 앞에 선 것 같았던 그때 읽었던 ‘토지’를 그는 이후로도 여러 차례 읽는다. 처음에는 스토리의 재미를 따라가며, 나중에는 현재의 삶과 겹쳐서.

‘토지’를 재미있게 읽었다면 기꺼워하며 함께 읽을 만한 책이다. ‘토지’를 읽지 않았더라도 맥락을 짚어 가며 음미해 볼 만한 부분이 많다. 무미건조한 역사 서술과 다르게, 문학은 당시의 삶을 납작하게 전시해 놓는 데 만족하지 않고 이미 사라진 시대의 육성을 생생하게 되살려 놓는다. 이 책은 문학의 그 부단한 시도가 충분히 그럴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2019-01-11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