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전한 홀로서기 위한 ‘독립’… 끝이 아닌 시작

온전한 홀로서기 위한 ‘독립’… 끝이 아닌 시작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11-07 02:34
수정 2024-11-07 02: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문 잡지 ‘한편’ 15호 ‘독립’ 고찰
타인과 연립하는 삶 필요성 제시

이미지 확대
생활 인문 잡지 ‘한편 15호’
생활 인문 잡지 ‘한편 15호’


청소년기에는 간섭 받기 싫다는 이유로 부모로부터 독립하길 꿈꾼다. 그렇지만 정작 취직해서 돈을 벌고, 새로운 집을 꾸리고, 일터에서는 자기만의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하는 등 끊임없이 독립을 요구받게 되는 때가 되면 독립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어차피 인간은 혼자라는 말처럼 모두가 독립해야 하고, 웬만해선 잘해야 한다면 잘 독립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생활 인문 잡지 ‘한편 15호’는 “길을 찾는다는 것은 길을 잘 아는 가이드를 찾는 것”이라면서 ‘독립’이라는 주제로 8명의 필자가 희곡, 강의, 대담, 취재 노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의 생각을 펼쳐 낸다.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에서 존재론과 정치철학의 상호 관계에 관해 연구하는 김강기명 전임연구원은 ‘독립 너머 연립’이라는 글에서 스피노자의 철학을 바탕으로 독립보다 연립하는 삶에 대해 말한다.

김강 연구원은 우리가 가진 독립의 욕구는 자연스러운 것이 아니라 특정한 시대적 산물이며, 오늘날 우리가 가진 독립의 욕구는 그보다 훨씬 자연스러운 연립의 욕구를 배제한다고 지적한다. 개인을 능력이나 소유물의 독자적 소유자로 보는 소유자 개인주의는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은 각각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며 살아가게 되고, 만인은 투쟁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이 소유자 개인주의는 오늘날의 신자유주의와 능력주의를 떠받치고 있는 전제이기도 하다. 그래서 소유자 개인주의를 기반으로 해서는 출산율 저하와 인구 감소, 돌봄 위기, 기후 위기 등 현재 우리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개체와 개인은 독립적이지만 외부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새롭게 정의된다는 스피노자의 사회계약론을 근거로 타인과 협력을 통해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을 때 새로운 독립된 개체가 될 수 있다고 김강 연구원은 주장한다.

이는 홀로서기보다 함께 자유롭기를 실천해 온 이들로부터도 확인할 수 있다. ‘독립은 함께 살기다’라는 글에서 자기만의 공간을 얻은 뒤 오히려 더 부자유해지는 경우가 많다고 주장하는 공동체 은행 ‘빈고’ 활동가 지음은 성별, 나이, 소득 수준이 다른 이들이 함께 살며 서로에게 의존하면서 갈등을 자유롭고 평등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들이 말하는 내용과 형식, 방법은 모두 다르지만 “독립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는 점과 “모든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무수히 많은 이들에게 의존하며 산다”는 점에 대해선 입을 모은다.
2024-11-0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