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릇은 뜻이 넓다. 밥을 담아도 그릇이지만, 큰 물건을 담아 두는 가구도 그릇이다. 사람을 담으면 집이 된다. 그릇 작업의 폭을 넓히기 위해 고심해 온 도예작가 이헌정(44)의 개인전 ‘건축의 모델’이 오는 3월 4일까지 서울 서소문동 일우스페이스에서 열린다.
이미지 확대
고대 카타콤을 연상시키는 전시물 앞에 선 이헌정 작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고대 카타콤을 연상시키는 전시물 앞에 선 이헌정 작가.
이헌정은 성공적인 도예가에서 가구 제작으로, 다시 건축으로 차츰 보폭을 넓히고 있는 작가. 지난해 건축학 박사과정도 마쳤다. 이번이 건축을 주제로 한 첫 전시다. “예전부터 순수예술의 추상적인 것보다 뭔가 실제 생활에 연결되는 작업을 해 보고 싶었어요. 그 때문에 가구와 건축에 대한 관심을 계속 갖고 있어지요.”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품들은 간결하다. 주어진 공간, 그 공간의 중심점, 중심점을 두고 그 공간을 에워쌈, 소통을 위해 내는 입구처럼 가장 기본적인 요소만 강조했다. 이런 생각은 공간 높이가 4m나 되지만 의자, 입구, 빛 외에는 아무것도 없는 전시물에서 잘 드러난다. 작품 제목도 없다. 언뜻 초기 기독교 시대, 건물 지하의 비밀 기도 공간(카타콤)을 떠올리게 한다. 이헌정은 “도심의 바쁜 생활 와중에 공간 그 자체를 느껴보라는 뜻으로 만들었다.”면서 “굳이 이름을 붙이자면 ‘작가의 그릇’ 정도”라고 말했다.
영화배우 브래드 피트 얘기를 꺼내지 않을 수 없다. 피트는 2009년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디자인 마이애미바젤’ 아트페어에서 이헌정의 작품 ‘아트 벤치’를 구입해 화제를 낳았다.
“도움은 됐어요. 가구와 건축을 해 보고 싶었는데 엄두가 잘 안 났죠. 그때 미국 작가 웬들 캐슬이 우연히 경기 양평 작업장에 들렀다가 제가 만든 가구를 보고 한번 해 보라고 북돋워준 게 출발이었습니다. 그래도 이게 될까, 그런 걱정이 있을 때였는데 브래드 피트가 (작품을) 구입해 주면서 많은 도움이 됐죠. 그런데 그렇게 유명해져 공허하게 붕 뜨기보다 이젠 작품 자체로 평가를 받아아죠.” (02)753-6502.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1-2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