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위 노배우 이야기? 연기 인생 50년 전무송의 인생 이야기!
“도대체 그게 어디 갔지? 어디 있어? 그것만 찾으면 되는 건데, 그게 뭔지 기억이 나질 않는단 말이야.”‘서 있어도 기마 자세를 만드는’ 허름한 회색 내복을 입은 괴팍한 노인이 있다. 크고 거친 목소리로 상대에게는 “비워라.”라고 하면서도 자신은 시도 때도 없이 무엇인가를 찾아 두리번거리기 일쑤다. 이 노인은 무엇을 찾고 있을까.
연극 ‘보물’은 노배우의 이야기다. 연기 인생 50년을 맞은 명배우 전무송(71)의 인생 이야기이기도 하다. 1962년 현 서울예술대학교의 전신인 한국연극아카데미에서 연기에 발을 들인 전무송은 쉬지 않고 달린 지난 50년을 ‘보물’에 풀어낸다.
현실과 무대를 구분하지 못하는 노배우 명성은 배우지망생 앞에서 뜬금없이 돈키호테가 되기도, 망나니를 호령하는 사형집행자가 되기도 한다. “굶기를 밥 먹듯하던 시절”이었지만 “소중한 내 분신과도 같은 것들”이 있던 그때와 그곳, 무대를 떠나지 못하는 노배우는 전무송과 닮아 있다. 전무송은, 숨이 차서 헉헉거리다가도 연기에 몰입할 때는 천하를 호령하는 힘 있는 목소리를 내지르는 명성을 ‘연기’한 게 아니라, 그저 자신을 있는 그대로 녹여냈지 싶다. 아마도 전무송을 가장 잘 아는 사람들이 만들어낸 작품이라서 그런 느낌이 더욱 강하게 들지도 모른다. 딸 전현아가 희곡을 쓰고, 사위 김진만이 연출했다. 고비 역할을 맡은 배우는 아들이다. 전무송과 오랫동안 함께 호흡을 맞춰온 배우 오영수(68)가 극 속에서 명성의 버팀목이 되는 대식이 됐다.
온 가족이 총출동했다고 그저 그런 가족극이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일단 전무송과 오영수, 두 배우의 연기 내공이 무대를 채운다. 근엄하고 품격 있는 모습으로 비춰졌던 전무송은 연극 내내 내복 차림이다. 자주 깜빡하고 불리할 때면 버럭 소리를 지르는 명성은, “아버지의 평소 모습”이라는 게 전현아의 ‘증언’이다.
무대 전환은 없고, 조명도 비교적 단순하다. 처음부터 끝까지 라이브 피아노 연주로 배경음악을 대신한다. 김진만 연출은 “말과 몸짓으로 아버지의 연기 인생을 살피는 작품을 만들기 위해 철저하게 아날로그적 무대로 꾸몄다.”고 설명했다. 의도했던 것 이상으로, 피아노 소리와 대사가 노래하듯 잘 어우러져 연극의 묘미를 극대화한다. ‘보물’은 오는 18일까지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서 공연된다. 3만~10만원. 070-8263-1360.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11-0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