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의 창의·인성교육 취재를 위해 지난달부터 영국, 프랑스, 벨기에 등 유럽 국가들을 2주간 돌아다니면서 초등학교 교육청 장학사부터 대학교 교수까지 각 나라 교육전문가들을 두루 만났습니다.
이들은 대개 한국에 대해서는 남북문제를 빼고는 생소해했지만, 교육문제에 대해서는 열성적인 학부모와 조기교육 열풍에 대해 한 번씩은 들어봤다고 합니다. 덕분에 한국이 그나마 외국에 잘 알려진 셈이지만 정작 대학 진학 이후나 성인 분야 학문에서는 고전을 면치 못하는 걸 보면 우리 조기 교육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조기교육은 도대체 언제 하는 게 좋을까요?
‘육아쇼크’의 저자 포 브론슨과 애슐리 메리먼은 “유치원 영재 선발의 73%가 오류이고, 한국 사회는 대기만성형 아이들을 기다리는 데 너무 조급하고 가혹하다.”면서 과도하게 이른 조기교육을 경계했습니다. 그들의 설명에 저도 고개를 절로 끄덕였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이들은 대개 한국에 대해서는 남북문제를 빼고는 생소해했지만, 교육문제에 대해서는 열성적인 학부모와 조기교육 열풍에 대해 한 번씩은 들어봤다고 합니다. 덕분에 한국이 그나마 외국에 잘 알려진 셈이지만 정작 대학 진학 이후나 성인 분야 학문에서는 고전을 면치 못하는 걸 보면 우리 조기 교육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조기교육은 도대체 언제 하는 게 좋을까요?
‘육아쇼크’의 저자 포 브론슨과 애슐리 메리먼은 “유치원 영재 선발의 73%가 오류이고, 한국 사회는 대기만성형 아이들을 기다리는 데 너무 조급하고 가혹하다.”면서 과도하게 이른 조기교육을 경계했습니다. 그들의 설명에 저도 고개를 절로 끄덕였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0-07-2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