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는 국내 최초의 계획된 행정도시다. 단순히 행정기관만 모아 놓은 도시가 아니라 첨단과학기술이 접목된 ‘유비쿼터스 도시’로 건설된다. 지금은 입주 초기 단계라서 주민 편익시설이 부족하고 행정 서비스의 질도 떨어지지만, 도심이 형성되면 명품 신도시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 계획도시인 만큼 볼거리도 많다.
우선 국내 최대 규모의 호수가 방문객을 반긴다. 물에 잠기는 면적만 32만 5000㎡에 이른다. 일산 호수공원보다 2만 5000㎡가 넓다. 지난달 초 담수가 끝난 덕분에 주말이면 방문객이 줄을 잇고 있다. 호수 옆 습지에는 국립 수목원이 조성된다. 국내 최초의 도시형 수목공원으로 65만㎡에 이른다. 중앙공원 역시 단일 공원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인 134만㎡나 된다. 중앙공원과 수목공원은 주변의 전월산·원수산으로 이어진다. 도시 전체가 녹색 고리 안에 조성되는 셈이다.
세종시를 방문하면 새로운 교통 시스템도 경험할 수 있다. 굴절버스 이면서 전철처럼 궤도 운행도 가능한 바이모달 트램(Bi-modality Tram)은 이미 이 지역의 명물로 자리 잡았다. 중앙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한 간선급행버스 체계(BRT· Bus Rapid Transit)의 일환으로 도입됐다. 유성(지족역)~세종 첫마을~청사~오송역 간(31.2㎞) 전용도로를 이용해 운행되고 있으며 정시성 및 안정성이 장점이다. 차량 2량을 1편성(최대 93명 탑승)으로 구성, 최대 속도 80㎞/h로 운행 중이다. 운영 초기라서 미비한 점을 드러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관계자는 “3월부터는 서비스가 업그레이드되고 운행 간격을 늘리는 등 본격 운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로 중앙에는 태양광 모듈을 지붕으로 설치한 자전거 전용도로도 만날 수 있다. 1번 국도를 따라 세종시 용포리~대전 시계 구간까지 이어진다. 시내 전체 자전거도로 연장은 모두 354㎞나 된다.
환상형 도시계획도 눈에 띈다. 주요 간선도로와 건물 배치를 보면 환상형 도시체계 윤곽을 어렴풋이 볼 수 있다. 중앙 녹지공간을 두고 주변으로 주거공간을 배치했다. 그 배후를 다시 녹지가 둘러싸고 있는 이중 녹지벨트 구조다. 중간에 중앙행정타운을 배치했다.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스쿨’도 자랑거리. 등·하교 관리, 수업, 급식, 전자도서관 등 학교 전반 교육시설 및 콘텐츠가 유비쿼터스 기반으로 구축된다. 첫마을 학교는 이미 이런 기준을 맞춰 운영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교과 교실 및 가변형 교실도 운영된다. 학급당 학생수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인 20명으로 조정했다. 초기 수요예측 부실 탓으로 초등학교 학생수를 일부 조정했지만 학습 운영은 당초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 최초의 최첨단 지능형 스마트 시티로 조성된다. 도시설계 단계부터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접목, 도시 전역에 광대역통합망의 초고속 자가통신망 및 무선망이 구축된다. 국내 최대 규모인 U서비스가 49곳에 설치될 예정이다.
지금보다 최대 10배 빠른 기가인터넷 상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정보화진흥원, 티브로드는 세종시 첫마을 아파트에서 기가인터넷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서비스는 안경을 쓰지 않고도 3D 디지털, 초고화질 TV, 스마트 러닝 서비스 등 기가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응용 서비스가 제공된다.5무(無) 도시도 실현됐다. 전봇대·쓰레기통·담장·입간판·노상주차장이 없다. 도시 주간선도로에 공동구가 설치돼 전기·통신·난방·쓰레기관을 각각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4일 유성 반석역~충북 오송역을 오가는 바이모달 트램. 국내 최초로 세종시에서 운행되는 교통수단이다.
세종시를 방문하면 새로운 교통 시스템도 경험할 수 있다. 굴절버스 이면서 전철처럼 궤도 운행도 가능한 바이모달 트램(Bi-modality Tram)은 이미 이 지역의 명물로 자리 잡았다. 중앙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한 간선급행버스 체계(BRT· Bus Rapid Transit)의 일환으로 도입됐다. 유성(지족역)~세종 첫마을~청사~오송역 간(31.2㎞) 전용도로를 이용해 운행되고 있으며 정시성 및 안정성이 장점이다. 차량 2량을 1편성(최대 93명 탑승)으로 구성, 최대 속도 80㎞/h로 운행 중이다. 운영 초기라서 미비한 점을 드러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관계자는 “3월부터는 서비스가 업그레이드되고 운행 간격을 늘리는 등 본격 운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로 중앙에는 태양광 모듈을 지붕으로 설치한 자전거 전용도로도 만날 수 있다. 1번 국도를 따라 세종시 용포리~대전 시계 구간까지 이어진다. 시내 전체 자전거도로 연장은 모두 354㎞나 된다.
환상형 도시계획도 눈에 띈다. 주요 간선도로와 건물 배치를 보면 환상형 도시체계 윤곽을 어렴풋이 볼 수 있다. 중앙 녹지공간을 두고 주변으로 주거공간을 배치했다. 그 배후를 다시 녹지가 둘러싸고 있는 이중 녹지벨트 구조다. 중간에 중앙행정타운을 배치했다.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스쿨’도 자랑거리. 등·하교 관리, 수업, 급식, 전자도서관 등 학교 전반 교육시설 및 콘텐츠가 유비쿼터스 기반으로 구축된다. 첫마을 학교는 이미 이런 기준을 맞춰 운영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교과 교실 및 가변형 교실도 운영된다. 학급당 학생수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인 20명으로 조정했다. 초기 수요예측 부실 탓으로 초등학교 학생수를 일부 조정했지만 학습 운영은 당초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 최초의 최첨단 지능형 스마트 시티로 조성된다. 도시설계 단계부터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접목, 도시 전역에 광대역통합망의 초고속 자가통신망 및 무선망이 구축된다. 국내 최대 규모인 U서비스가 49곳에 설치될 예정이다.
지금보다 최대 10배 빠른 기가인터넷 상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정보화진흥원, 티브로드는 세종시 첫마을 아파트에서 기가인터넷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서비스는 안경을 쓰지 않고도 3D 디지털, 초고화질 TV, 스마트 러닝 서비스 등 기가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응용 서비스가 제공된다.5무(無) 도시도 실현됐다. 전봇대·쓰레기통·담장·입간판·노상주차장이 없다. 도시 주간선도로에 공동구가 설치돼 전기·통신·난방·쓰레기관을 각각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3-01-0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