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전문가 한정란 교수
노인복지전문가 한정란 교수
또 자원봉사라는 개념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하는 노인들을 위한 적극적인 홍보캠페인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노인자원봉사에 대한 캠페인은 사실 눈에 띄는 것이 거의 없다.”면서 “미국은퇴자협회(AARP)가 매번 정기적으로 노인의 긍정적인 모습을 담은 서적을 발간하는 등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것과는 매우 상반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우리 사회 전반적으로 ‘노인은 무조건 수혜를 받아야 할 대상’이라는 인식을 바꾸려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의 65세 이상 노인뿐만 아니라 예비노인으로 불리는 베이비붐 세대조차 봉사에 대한 개념이 희박하다는 것이 한 교수의 지적이다. 한 교수는 “내가 사회에 무엇을 돌려줘야 하는지 진지하게 생각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면서 “과거처럼 노인이 되면 무조건 대접을 받는다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어려운 이웃 노인을 위해 내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곰곰이 따져보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지는 자원봉사’라는 개념을 갖추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노인 자원봉사 모델을 꾸준히 제시해 다음 세대가 그 모델을 보고 따라가는 방식이다. 그는 이런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육’이 중요하다고 했다. 한 교수는 “어려서부터 노인 자원봉사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고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이 있는지 깨우쳐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노인자원봉사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도 필요한 시점이다. 정책을 지원하는 예산도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지만 제대로 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예산은 거의 찾아보기가 힘들 정도다. 정부가 예산을 지원할 수 없다면 기업에서 학계를 지원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 한 교수의 지적이다. 그는 “연구가 이뤄지지 않으면 교육을 할 수 없고 현장에 들어가야 하는 전문가도 육성할 수 없다.”면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면 정부가 앞서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2011-08-0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