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유산 톡톡] 백송, 배롱나무, 단풍나무… 어느 대통령이 생각나세요?

[미래유산 톡톡] 백송, 배롱나무, 단풍나무… 어느 대통령이 생각나세요?

입력 2019-12-04 17:44
수정 2019-12-05 01: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엄태호 서울도시문화연구원 연구원
엄태호 서울도시문화연구원 연구원
서울 동작구 상도동 김영삼 전 대통령 가옥에 들어서면 ‘송백장청’(松柏長靑)이라는 친필 휘호가 눈에 들어온다. “소나무와 측백나무는 늘 푸르다”는 글귀다. 현충원 대통령 묘역에도 이 글자가 있는 것을 보면 우리가 익히 아는 ‘대도무문’(大道無門)과 더불어 즐겨 썼던 모양이다.

정원에는 거실 유리창을 통해서도 볼 수 있는 단풍나무 한 그루가 가는 가을을 못내 아쉬워하며 겨울을 준비하고 있는 것 같았다. 1980년대 두 차례 가택 연금 동안 정원의 이 단풍나무와 많은 대화를 나누면서 민주화의 의지를 더욱 공고히 했으리라 짐작된다. 이 단풍나무는 상도동에 거주하기 이전인 안암동 시절에 인촌 김성수 선생 댁에서 가져온 것으로, 이쪽으로 옮겨와 평생 귀하게 여기며 가꿨다고 한다. 경남중학교에 다닐 때부터 “미래의 대통령 김영삼”이라는 글귀를 책상 위에 걸어 놓고 꿈을 키웠다는 포부가 정원의 단풍나무로 옮겨진 것인지도 모르겠다.

국립서울현충원의 이승만 전 대통령 묘역에는 같은 전주 이씨 후손인 이성재 선생이 2013년 탄신 기념일에 옮겨 심은 미끈한 백송 한 그루가 있다. 하의도 생가에 당신의 꿋꿋함을 상징하는 인동초가 한여름에 흰색과 노란색의 향연을 이루는 김대중 전 대통령 묘역은 아름드리 소나무들이 감싸고 있으며, 해남과 고향 마을 하의도에서 자라던 배롱나무를 옮겨와 여름 뜨거운 태양 아래 빨간 자태를 오랫동안 유지하기도 한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호를 ‘중수’(中樹)라고 해 특이하게 나무 수를 호에 썼다. 그래서인지 묘역에는 수많은 수종의 나무들이 각각의 위치에서 아름다움을 나타내고 있다. 육영수 여사 서거 다음해 식목일에는 모감주나무를 심어 여름 한철 황금색 꽃의 아름다움을 선사하며, 고향 동네인 옥천에서 옮겨 심었다는 목련도 있다. 흔히 볼 수 있는 백목련이 아니라 꽃잎이 많은 자생 목련이다.

엄태호 서울도시문화연구원 연구원

2019-12-0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