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저한 기획 없는 공연은 관객에 대한 사기”
“시장 자체가 어려운건데, 반성까지 하라면 가혹한 거 아닌가요.”설도윤(51) 설앤컴퍼니 대표가 슬쩍 반문했다. 질문은 요즘 뮤지컬 시장이 예전만 못하다는데, 공연계 자체의 문제점은 없느냐는 거였다. 그러나 이내 솔직한 답이 돌아왔다. “이런 때일수록 정공법으로 나가야 합니다. 당장 큰 재미는 못볼지 몰라도 꾸준히 비용과 시간을 투자할 만하다고 설득해야 합니다. 그래야 투자자와 관객, 모두를 지킬 수 있습니다.”
지난 18일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의 공연장인 서울 잠실 ‘샤롯데씨어터’ 객석에서 만난 설도윤 대표가 공연이 얼마나 많은 관객을 동원할 수 있을지 실험해보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시장 어려울수록 꾸준히 비용·시간 투자
말은 이어진다. “최근에 보면 신생 기획사들이 준비도 미진한데 아이돌 스타를 기용해 작품을 마구 올리는 경향이 있어요. 그러다 보니 투자자들이 뮤지컬계에 대한 관심 자체를 끊으려 합니다.” 구체적으로 몇몇 공연 이름도 거론했다. 차마 두 눈 뜨고 볼 수 없을 정도로 “허접해서” 1막만 보고 그냥 나와 버렸단다. 당장 돈 벌 때야 좋을지 몰라도, 그런 공연을 접한 사람들이 ‘다시는 뮤지컬 안 봐.’라고 등을 돌리면 결국 손해라는 얘기다.
요즘 뮤지컬 시장은 정체기다. 설 대표가 2001년 ‘오페라의 유령’을 무대에 올린 뒤 뮤지컬 시장 연간 매출액은 1200억원으로 치솟았고, 그 뒤 해마다 10~20%씩 쑥쑥 컸다. 그러다 2008년 금융위기를 만나 쪼그라들었다. 설 대표가 예상하는 올해 뮤지컬 시장 성장률은 ‘-40%’. 내년 상반기를 최저점으로 보고, 지금 진행 중인 공연이 마무리되는 대로 당분간 새 공연은 접는다. 내년 하반기쯤에나 ‘캣츠’나 앤드루 로이드 웨버의 신작을 선보일 예정이다.
설 대표는 물주인 투자자에 대한 쓴소리도 잊지 않았다. “그럼에도 아직 투자가 이뤄지는 건 그만큼 눈먼 돈이 많다는 얘기예요. 영화 같은 대박이 가능하다고 보는 거죠. 그러나 필름을 카피해서 뿌리면 되는 영화와 달리 뮤지컬은 매번 제작해 무대에 올려야 합니다. 공연이 아무리 성공적이어도 러닝 코스트(running cost)가 계속 발생하는 구조라는 거죠. 이를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실제 설앤컴퍼니는 뮤지컬 제작사로는 드물게 투자자들이 선정하는 외부회계법인의 회계감사를 받는다.
그는 2001년 ‘오페라의 유령’을 처음 무대에 올렸을 때의 원칙을 강조했다. 공연 얘기는 1999년부터 나왔는데, 외환위기 직후라 가능하겠느냐는 우려가 많았다. 그래서 1억원을 들여 시장조사를 했다. 공연팬들의 소비행태, 구매욕구, 작품이나 극장에 대한 인지도, 적정 가격, 공연 개막 시기, 개막 시기쯤 예상되는 경제적 상황 등을 꼼꼼하게 조사했다. 이 결과를 들이밀고서야 영국 원작사 RUG와 투자자들의 OK 사인을 받아냈다. 이런 기획작업이 없는 뮤지컬 공연에 대해 설 대표는 단호하게 “투자자에 대한, 관객에 대한 사기”라고 규정했다.
설 대표는 1980년대부터 시작된 상업뮤지컬 1세대. 뮤지컬 초창기 때 모습을 물었더니 에피소드 하나를 들려줬다. 그는 1981년 ‘에비타’를 통해 배우로 데뷔했다. ‘에비타’에는 군부 쿠데타 얘기가 나온다. 5·18 광주민주항쟁이 일어난 지 1년도 채 안 돼 전두환 정권의 서슬이 시퍼렇던 시절이다. 간을 배 밖에 내놓은 셈. 그런데 검열을 통과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우리나 그쪽이나 다 아무 생각이 없었던 거죠. 우린 그냥 작품이 좋아서 골랐고, 그쪽에서는 뮤지컬이 뭔지 모르니 악보 몇 개 보고는 허가해준 겁니다. 그래서 세종문화회관에서 버젓이 공연했습니다.” 뒤탈이 안 생길 리 없다. “차츰차츰 한 장면씩 날아가기 시작하더니 나중엔 내용을 모를 정도로 잘리더군요. 결국 공연일정도 다 채우지 못하고 끝내야 했습니다.” 남산 모처에 줄줄이 끌려가지 않은 게 다행이다.
●뮤지컬·‘세컨드 라이프’ 접목 구상중
설 대표가 배우에서 제작자로 돌아선 것도 이런 우스꽝스러운 일 없이 제대로 된 공연을 해보고 싶어서였다. 이화여대 무용과에 드나들면서 몸동작까지 익혔다. 우스갯소리에 등장하는 ‘이대 무용과 남학생’이었다. 그 뒤 뮤지컬 제작 시장에 뛰어들었다. 그만큼 제대로 된 공연에 대한 욕구가 강렬하다. ‘오페라의 유령’을 2009년 9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무대에 올리면서 35만명을 목표로 내건 이유도, 단순한 장사 욕심만은 아니다. ‘제대로 된 공연이라면 1년 정도의 장기공연 따위야 너끈하게 소화해낼 수 있다.’는 성공모델을 하나쯤 남기고 싶어서다.
동시에 그의 요즘 화두는 온라인이다. “록그룹 U2의 세컨드라이프(Second Life) 공연은 접속자만 200만명이에요. 별 내용도 없는데 그렇게 파괴력이 큰 거죠. 그래서 뮤지컬 같은 것을 그런 데 접목하려고 해요.”
세컨드라이프는 아바타를 활용한 가상공간을 뜻한다. 비슷하게 8월쯤 걸그룹과 함께 온라인 콘서트를 개최하고, 그동안 무대에서만 선보여왔던 ‘오페라의 유령’, ‘캣츠’, ‘브로드웨이 42번가’ 같은 뮤지컬도 온라인에 올리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뮤지컬 캐릭터를 게임으로도 만든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5-2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