칩거 끝내고 당권도전 기지개?
민주당 손학규 전 대표는 만나기 힘든 정치인 중 한 명이다. 그의 의중은 점조직처럼 퍼진 측근들의 말을 종합해야 겨우 짐작할 수 있다. 선거가 있을 때만 지원유세를 하고, 선거가 끝나면 곧바로 ‘칩거’에 들어갔다.민주당 손학규 상임고문
손 전 대표는 2년 전 당 대표 자리에서 떠난 뒤 줄곧 ‘차별화’ 전략을 써왔다. 측근들은 언제나 “손 전 대표는 당권 경쟁에는 관심이 없고, 민주당이 어떻게 하면 국민의 신뢰를 얻어 2012년 정권을 되찾을 수 있을까를 고민했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그의 뜻이 아무리 높다 해도 결국 대선이 목표이고, 대선으로 가려면 이번 전당대회에서 당권을 거머쥐어야 한다. 의도가 어떻든 진흙탕 싸움에 뛰어들 수밖에 없는 것이다.
더구나 민주당은 현재 주류·비주류가 전당대회 준비기구 구성과 대표 선출 방식을 놓고 샅바싸움을 하고 있다. 주류와 비주류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은 손 전 대표가 더 뜸을 들이다가는 출발부터 삐끗할 수 있다.
비록 거리는 뒀지만 손 전 대표가 현실정치에 완전히 손을 놓은 것은 아니었다. 3차례의 재·보선과 지방선거를 지원했고, 경기지사 선거에서 유시민·김진표 단일화를 이끌 정도로 친노(친노무현) 세력과도 관계를 호전시켰다. 386그룹의 지지도 여전하다.
손 전 대표의 강점은 호남에 과도하게 기대고 있는 당세를 수도권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인물이라는 것이다. 또 운동권 출신에다 대학교수, 국회의원, 장관, 당 대표 등을 두루 거쳤다. 경쟁자인 정동영 의원은 지난 대선에서 대패한 게 뼈아프고, 정세균 전 대표는 인지도가 좀처럼 오르지 않아 고민이다. 손 전 대표는 이런 고민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그러나 한나라당에서 이적했기 때문에 ‘정통성 시비’가 꼬리표처럼 붙어 다닌다. 그의 정책과 비전이 민주당과 맞는지도 미지수다. 그는 노무현 전 대통령을 ‘경포대(경제를 포기한 대통령)’로 비판한 바 있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당내 선거는 결국 조직력에서 승부가 갈리는데, 손 전 대표가 과연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했는지 의문”이라면서 “민주당에 입당한 뒤 대선 후보 경선에서 패하고, 국회의원 선거(종로)에서도 패해 승리의 ‘기억’을 갖고 있지 않다는 한계도 극복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구기자 window2@seoul.co.kr
2010-08-0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