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북한의 해안포 발사 축소 발표 논란과 관련,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등에 언론 대응 개선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12일 확인됐다.
이는 최근 합동참모본부가 북한의 서해상 해안포 발사와 관련해 포탄이 NLL(북방한계선) 남쪽으로 넘어오지 않았다고 했다가 하루만에 “10여발이 NLL을 1~2㎞ 넘었다”고 말을 바꾸면서 축소발표 의혹이 제기된데 따른 조치다.
청와대 핵심참모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수석들과 외교안보팀 사이에서 군이 작전상 대응 과정에는 큰 문제가 없는데도 공보 대응이 미숙해 국민의 신뢰를 잃는 일이 반복된다는 지적이 많았다”면서 “군에서 자체적으로 조사와 점검을 통해 공보 개선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천안함 사태 때도 그랬지만 군의 언론 대응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게 청와대의 판단”이라며 “앞으로는 솔직하고 정확히 사실을 알릴 수 있도록 군에서 자체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도 이번 북 해안포 발표 축소 의혹과 관련한 보고를 받던 자리에서 군이 언론 대응 미숙으로 괜한 오해를 사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임태희 대통령실장 주재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는 “정부가 숨기는 게 없는데 관계자 몇 분이 이랬다 저랬다 해서 국민을 불안하게 하는 것 아니냐”, “대처 과정에서 국민을 안심시킬 수 있도록 국방 관계자가 노력해야 한다”는 등의 지적이 나왔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청와대는 또 이번 북한 해안포 발사 당시 초소 1곳에서는 영상을 찍었으나 다른 1곳에서는 영상을 확보하지 못한 점을 지적, 영상장비와 같은 증거확보 관련 장비도 확충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이는 최근 합동참모본부가 북한의 서해상 해안포 발사와 관련해 포탄이 NLL(북방한계선) 남쪽으로 넘어오지 않았다고 했다가 하루만에 “10여발이 NLL을 1~2㎞ 넘었다”고 말을 바꾸면서 축소발표 의혹이 제기된데 따른 조치다.
청와대 핵심참모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수석들과 외교안보팀 사이에서 군이 작전상 대응 과정에는 큰 문제가 없는데도 공보 대응이 미숙해 국민의 신뢰를 잃는 일이 반복된다는 지적이 많았다”면서 “군에서 자체적으로 조사와 점검을 통해 공보 개선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천안함 사태 때도 그랬지만 군의 언론 대응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게 청와대의 판단”이라며 “앞으로는 솔직하고 정확히 사실을 알릴 수 있도록 군에서 자체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도 이번 북 해안포 발표 축소 의혹과 관련한 보고를 받던 자리에서 군이 언론 대응 미숙으로 괜한 오해를 사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임태희 대통령실장 주재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는 “정부가 숨기는 게 없는데 관계자 몇 분이 이랬다 저랬다 해서 국민을 불안하게 하는 것 아니냐”, “대처 과정에서 국민을 안심시킬 수 있도록 국방 관계자가 노력해야 한다”는 등의 지적이 나왔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청와대는 또 이번 북한 해안포 발사 당시 초소 1곳에서는 영상을 찍었으나 다른 1곳에서는 영상을 확보하지 못한 점을 지적, 영상장비와 같은 증거확보 관련 장비도 확충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