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분당을에 출마해 정치적 승부수를 띄운 민주당 손학규 대표의 핵심 전략은 ‘당색(黨色) 지우기’다. 기호 2번을 알리는 어깨띠를 풀어 놓고 유세를 하는가 하면 선거 구호를 적은 플래카드에서 ‘민주당’이란 세 글자를 찾기도 힘들다. 보수적인 중산층이 밀집한 지역 특성상 소득세와 법인세 인상을 주장하는 ‘민주당’보다는 서울대와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공부한 경기지사 출신 ‘손학규’가 표를 끌어오는 데 더 적합하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이런 손 후보를 한나라당 최고위원들은 “민주당이 그렇게 부끄럽냐.”며 맹비난하고 있다. 그러나 한나라당 후보들도 당을 무시하긴 마찬가지다. 김해을에 출마한 김태호 후보는 당 대표를 선거 현장이 아닌 창원으로 불러 김해 발전 방안을 발표하게 했다. 분당을의 강재섭 후보는 “한나라당은 나른한 봄날에 배를 드러내 놓고 누워 있는 공룡”이라고 비난했다.
대학 졸업 후 줄곧 두 정당에서 활동해온 실무 당직자들에게 의견을 물었다. 민주당의 당직자는 “당 대표가 당을 앞세우지 못하는 현실이 서글프다.”고 했다. 한나라당 당직자는 “당을 누가 망쳤는데, 이제 와서 게으른 공룡이라고 하는가.”라고 말했다.
4·27 재·보선 결과를 예측하다 문뜩 엉뚱한 생각이 들었다. 이번 선거의 최대 패배자는 ‘정당’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 말이다. 현대 민주주의의 요체는 대의 민주주의이고, 대의 민주주의의 꽃은 정당인데 정당이 이처럼 천덕꾸러기가 된 적이 있었을까. 민주주의를 구현하는 가장 유용한 방식이 대중선거이고, 대중선거를 이끄는 주체가 정당인데 공천받은 후보자가 당을 부끄러워하는 아이러니를 어떻게 봐야 할까.
물론 정당의 위기는 정당이 자초했다. 당은 유권자들에게 ‘저 당을 지지하면 나의 정치적 신념과 경제적 이익을 보장해 줄 것’이라는 믿음을 주지 못했다. ‘국가 권력을 맡겨도 되겠다.’는 신뢰감도 세우지 못했다. 승리한 후보의 환희 뒤에서 더 움츠러들 정당의 그림자가 벌써부터 애처롭다.
이창구기자 window2@seoul.co.kr
이런 손 후보를 한나라당 최고위원들은 “민주당이 그렇게 부끄럽냐.”며 맹비난하고 있다. 그러나 한나라당 후보들도 당을 무시하긴 마찬가지다. 김해을에 출마한 김태호 후보는 당 대표를 선거 현장이 아닌 창원으로 불러 김해 발전 방안을 발표하게 했다. 분당을의 강재섭 후보는 “한나라당은 나른한 봄날에 배를 드러내 놓고 누워 있는 공룡”이라고 비난했다.
대학 졸업 후 줄곧 두 정당에서 활동해온 실무 당직자들에게 의견을 물었다. 민주당의 당직자는 “당 대표가 당을 앞세우지 못하는 현실이 서글프다.”고 했다. 한나라당 당직자는 “당을 누가 망쳤는데, 이제 와서 게으른 공룡이라고 하는가.”라고 말했다.
4·27 재·보선 결과를 예측하다 문뜩 엉뚱한 생각이 들었다. 이번 선거의 최대 패배자는 ‘정당’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 말이다. 현대 민주주의의 요체는 대의 민주주의이고, 대의 민주주의의 꽃은 정당인데 정당이 이처럼 천덕꾸러기가 된 적이 있었을까. 민주주의를 구현하는 가장 유용한 방식이 대중선거이고, 대중선거를 이끄는 주체가 정당인데 공천받은 후보자가 당을 부끄러워하는 아이러니를 어떻게 봐야 할까.
물론 정당의 위기는 정당이 자초했다. 당은 유권자들에게 ‘저 당을 지지하면 나의 정치적 신념과 경제적 이익을 보장해 줄 것’이라는 믿음을 주지 못했다. ‘국가 권력을 맡겨도 되겠다.’는 신뢰감도 세우지 못했다. 승리한 후보의 환희 뒤에서 더 움츠러들 정당의 그림자가 벌써부터 애처롭다.
이창구기자 window2@seoul.co.kr
2011-04-19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