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前대표 작심 발언…대권행보 본격화하나 촉각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발언의 폭이 넓고 깊어졌다. 이명박 정부나 당 지도부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차원에서 되도록 말을 아꼈던 박 전 대표가 당직 인선, 공천문제 등 민감한 사안까지 직접 ‘정리’에 나섰다.![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8/09/SSI_20110809170457.jpg)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8/09/SSI_20110809170457.jpg)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제대로 논의조차 못했던 인선 문제를 박 전 대표가 직접 관여하면서 홍 대표의 입장은 애매하게 됐다. 홍 대표 측에서는 최고위원들을 비롯한 당 안팎의 반발 기류를 감안해 호남 인사의 지명을 고려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박 전 대표에 의해 논란이 정리되는 모양새가 됐다. 홍 대표가 타이밍을 놓친 셈이다.
홍 대표가 임명한 신임 당직자들이 잇따라 언급했던 ‘물갈이론’에 대해서도 박 전 대표는 “그런 논의들이 많이 있는 것 같은데 국민이 납득할 만한 공천 기준과 시스템을 잘 만드는 게 우선돼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특히 일부 인사들이 주장한 ‘중진의원 자진 용퇴론’에 대해서도 “공천이라는 것이 개인적인 차원에서 하는 게 아니다.”라며 공천 시스템이 먼저 구축돼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한편 박 전 대표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논란과 관련, “독도는 지리적으로나 국제법적으로나 역사적으로나 엄연히 대한민국의 영토이고 현재도 영유권을 완벽하게 행사하고 있다.”면서 “그런 일이 있을 때마다 우리 정부는 ‘독도는 대한민국의 영토다’라는 것을 만천하에 분명하게 천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조용한 외교’로는 부족하다는 얘기다.
박 전 대표는 당 대표시절인 2006년 일본기자협회 초청 토론회에서 독도 문제 해결방안에 대해 “일본이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라는 것을 깨끗이 인정하면 된다.”고 답한 바 있다고 직접 전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독도 영유권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나가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이처럼 국내외 현안에 대해 두루 입장을 밝힌 박 전 대표는 “그동안 구상한 정책들이나 발표할 기회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본격적인 활동 시점이 임박했음을 암시했다.
허백윤기자 baikyoon@seoul.co.kr
2011-08-10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