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ㆍ중진 “권역별 적용해야” 이상돈 “누더기 우려”
한나라당이 18일 4월 총선에서 ‘현역 지역구의원 25% 공천배제’ 기준을 권역별로 적용할 움직임을 보이자 이 안을 마련했던 일부 비상대책위원이 반발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ㆍ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는 이 잣대를 일률적으로 적용할 게 아니라 수도권, 영남권 등 권역별로 적용해야 공정성 시비가 일지 않고, 형평에도 맞다는 의견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윤성 의원은 회의 후 기자들에게 “전국에 한나라당의 강세 지역과 취약 지역이 있고 영남권과 수도권이 다르다”면서 “오히려 강세 지역과 취약 지역을 넘어서는 지역ㆍ권역별 25% 적용은 어떠냐고 물어봤다”고 말했다.
한 핵심 당직자는 기자들에게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도 회의에서 이런 의견을 받아들이는 것 같았다”고 전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전날 의원총회에서도 “그런 (25%룰 적용) 부분에 조정이 필요한 것 같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비대위 정치쇄신분과 위원장인 이상돈 비대위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원칙에 대한 예외를 인정하는 것인데, 그러면 누더기가 되는 것 아닌가. 부작용이 더 많지 않겠느냐”고 권역별 적용에 반대 의견을 피력했다.
그는 “하위 25% 배제룰이 특정 지역에 완전히 불리하다고 보지 않는다. 수도권 의원들이 (이 룰에) 반발하는 것은 그다지 근거가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변화와 개혁에 대한 국민의 열망인데, 그 틀을 흔드는 것은 안된다. 어떤 제도든지 근본 취지를 살려야지, 자꾸 조건을 달아서 고치고 예외를 두면 게리맨더링(특정 정당이나 특정인에게 유리하도록 선거구를 정하는 행위) 비슷하게 되는 것 아니냐”면서 “내일 비대위 전체회의에서 이런 의견을 밝힌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치쇄신분과 소속인 김세연 비대위원도 기자들과 만나 “모든 사람이 동의할 수 없는 안은 없기 때문에 최대한 조화롭게 잘 맞춰가겠다”면서 “합리적 부분들은 최대한 반영하는 유연성을 가지되 큰 틀은 흔들리지 않도록 하겠다”고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