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4일 전국 대체로 흐리고 남부 가끔 비” 예보
제6회 지방선거가 열리는 4일 전국이 흐리고 남부지방에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궂은 날씨가 투표율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기상청에 따르면 4일에는 전국이 대체로 흐리고 남부 지방은 가끔 비(강수확률 60∼90%)가 올 것으로 보인다. 전라도와 제주도에서는 새벽에 비가 오다 오전 중 대부분 그치겠지만 강원 영동과 부산, 대구, 창원 등 영남에서는 온종일 흐리고 가끔 비(강수확률 60∼70%)가 오는 곳이 있겠다.
선거 투표율은 당시의 정치·사회적 상황 등이 복잡하게 작용해 날씨와 딱 떨어지는 상관 관계를 찾기는 쉽지 않지만 일단 비가 오면 유권자들이 외출을 꺼리게 돼 투표율이 좋지 못하다는 게 일반적인 견해다. 그러나 투표일 당일 날씨가 화창해도 투표소를 외면하고 야외로 나들이를 떠나는 행락객이 많아져 투표율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는 논리도 가능하다.
역대 5차례의 지방선거 중 2010년 6월 2일 치러진 제5회 선거 때에는 제주를 제외한 전국이 맑아 역대 지방선거일 중 날씨가 가장 좋았다. 공교롭게도 이때 투표율은 54.5%를 기록해 1995년 제1회 선거(68.4%) 다음으로 투표율이 높았다.
제1회 선거 때는 전국이 대체로 흐리고 대구와 안동 등지에 소나기가 왔지만 지방선거가 처음 치러져 선거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컸기에 투표율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998년 6월 4일 제2회 선거일은 당시 전국이 대체로 흐리고 비가 와 역대 지방선거일 중 가장 날씨가 좋지 않았지만 투표율은 52.7%로 세 번째로 높았다.
투표율이 가장 저조했던 선거는 2002년 6월 13일 제3회 선거로, 투표율은 48.9%를 기록했다. 이때도 날씨는 울산과 군산 등지에 약한 비가 온 것을 제외하면 대체로 나쁘지 않았다.
겨울에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 때는 추위가 투표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 있다. 역대 대선 결과를 보면 선거일 날이 추울 때에는 보수 후보가 당선됐고 그 반대의 경우 진보 후보가 대권을 차지했다. 2012년 12월 19일 치러진 18대 대선 때는 서울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10.3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지역에서 강추위가 엄습했고 보수 진영인 박근혜 후보가 당선됐다. 이전 대선일의 전국 10대 도시 평균 기온을 보면 이명박 대통령이 뽑힌 2007년 12월 19일에는 2.5도로 다소 추웠다.
하지만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궂은 날씨가 투표율에 어떤 영향을 줄 지 예측하기가 힘들다는 게 대체적은 분석이다. 세월호 애도 정국에 날씨를 뛰어넘는 이슈들이 워낙 많기 때문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