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로 이주한 공무원 3명 중 1명이 거주여건에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이 세종시로부터 제출받아 16일 공개한 ‘중앙부처 이전 공무원 불편사항 조사결과’에 따르면 현 거주지 생활의 만족도에 대해 ‘만족’이 17%, ‘보통’ 47%, ‘불만족’ 33%, ‘매우 불만족’ 3%로 조사됐다.
또 기존 거주지의 삶과 비교해서는 응답자의 63%가 세종시에서의 삶의 질이 나빠진 것으로 답했다.
다만 앞으로 삶의 질이 좋아질 것이라는 항목에는 94%가 ‘그렇다’고 답했다.
거주 여건 중 가장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는 편의·의료시설 확충(67%)과 교통체계 개선(27%) 등을 꼽았고, 세종청사 근무 시 가장 큰 불편사항은 육아 및 교육(48%)과 출퇴근(17%) 문제였다.
정부세종청사 업무가 비효율적이라는 의견도 많았다. 잦은 국회 출장(60%), 중앙부처 분산(30%), 업무 과중(7%), 간부공무원 부재(3%) 등이 주요 사유로 꼽혔다.
세종시는 5월16일부터 열흘간 15개 중앙행정기관 이주 공무원 3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 방식을 통해 이주 공무원들의 불편사항을 조사했다.
조 의원은 “세종청사 개청 이후 여전히 많은 공무원의 불만족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면서 “올해 국정감사에서 이주 공무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대책과 지원 부분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이 세종시로부터 제출받아 16일 공개한 ‘중앙부처 이전 공무원 불편사항 조사결과’에 따르면 현 거주지 생활의 만족도에 대해 ‘만족’이 17%, ‘보통’ 47%, ‘불만족’ 33%, ‘매우 불만족’ 3%로 조사됐다.
또 기존 거주지의 삶과 비교해서는 응답자의 63%가 세종시에서의 삶의 질이 나빠진 것으로 답했다.
다만 앞으로 삶의 질이 좋아질 것이라는 항목에는 94%가 ‘그렇다’고 답했다.
거주 여건 중 가장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는 편의·의료시설 확충(67%)과 교통체계 개선(27%) 등을 꼽았고, 세종청사 근무 시 가장 큰 불편사항은 육아 및 교육(48%)과 출퇴근(17%) 문제였다.
정부세종청사 업무가 비효율적이라는 의견도 많았다. 잦은 국회 출장(60%), 중앙부처 분산(30%), 업무 과중(7%), 간부공무원 부재(3%) 등이 주요 사유로 꼽혔다.
세종시는 5월16일부터 열흘간 15개 중앙행정기관 이주 공무원 3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 방식을 통해 이주 공무원들의 불편사항을 조사했다.
조 의원은 “세종청사 개청 이후 여전히 많은 공무원의 불만족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면서 “올해 국정감사에서 이주 공무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대책과 지원 부분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