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5% “현역 의원 안 뽑겠다”

국민 55% “현역 의원 안 뽑겠다”

장세훈 기자
입력 2015-12-31 22:30
업데이트 2016-01-01 05: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본지·에이스리서치 신년 여론조사

오는 4·13 총선에서 현역 국회의원에 대한 물갈이 요구가 지지 의사보다 3배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 국회’, ‘흉작 국회’라는 오명을 쓴 기성 정치권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여야의 텃밭으로 꼽히는 호남과 대구·경북(TK)을 중심으로 현역 의원에 대한 교체 압력이 크다는 점에서 ‘민심발(發) 정계 개편’ 가능성도 제기된다.

●‘식물국회’ 기성 정치권 불신 급증

31일 서울신문이 병신년 새해를 맞아 에이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6~28일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대 총선에서 ‘현역 의원이 다시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은 19.1%에 그친 반면 ‘다른 인물로 바뀌는 것이 좋다’는 답변은 이보다 2.9배 많은 55.4%로 집계됐다. 특히 지역별로는 ‘야권 신당 바람’이 불고 있는 호남에서 교체 의견이 가장 높은 73.3%를 기록했고, 여권에서 촉발된 ‘현역 의원 물갈이론’의 진앙지인 TK에서도 59.7%에 달했다. 여야 모두 상향식 공천을 내건 상황에서 당내 경선에서 이변이 속출할 가능성이 커졌다.

●여야 당내 경선 이변 속출 가능성

다만 여야 후보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 여당 후보를 지지한다는 의견(38.2%)과 야권 단일 후보를 지지한다는 답변(36.7%)이 오차범위 내에서 접전을 벌였다. 야권이 연대할 경우 여야 간 초박빙 승부가, 반대로 야권이 분리될 경우 여당의 선전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이와 함께 차기 대선 후보 선호도 1위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으로 26.7%의 지지율을 보였다. 다만 1년 전 여론조사 결과(38.7%)에 비해 지지율이 12.0% 포인트 하락한 데다 대선까지 2년여가 남은 만큼 ‘반기문 대망론’이 지속될지 주목된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6-01-01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