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BTO “北 핵실험 방사능 핵종 이르면 8일 채집”

CTBTO “北 핵실험 방사능 핵종 이르면 8일 채집”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16-01-08 07:01
수정 2016-01-08 07: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는 지난 6일 실시한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관련된 방사능 핵종(核種·방사성물질)을 이르면 8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북한이 주장하는 ‘수소탄’ 실험 여부가 조만간 확인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엘리자베스 베히터 CTBTO 수석대변인은 “8일 일본 다카사키 관측소나 태평양 중부 미드웨이 섬 관측소에서 핵실험과 관련한 방사능 핵종을 채집할 수 있다”고 전했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8일 보도했다.

베히터 대변인은 “핵실험 때 암반 균열 등을 통해 공기중으로 누출되는 방사성 핵종이 바람의 영향으로 동해와 태평양으로 날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4.9로 추정했던 지진파의 크기도 4.85로 수정했다”고 덧붙였다.

CTBTO는 유엔이 핵실험을 막기 위해 1996년 창립한 기구로 세계 183개국이 가입했다. 기구는 지진파, 수중음파, 초저주파, 핵물질 분석 등 4가지 방법으로 핵실험을 감시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