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수출 제한 등으로 北 총수출액의 90% 감소 추산”“쌀값·환율 비교적 안정적…제재 효과 시간 두고 나타날 것으로 예상”
통일부는 26일 최근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에 따라 북한 내 유가가 상승세에 있다고 밝혔다.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최근 채택된 안보리 결의 2375호 이후 유가는 상승세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면서 “8월 중순 이후 급등세를 보였고 휘발유는 연초에 비해 3배로, 큰 폭으로 뛴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연초에는 휘발유 1㎏당 북한 돈으로 6천원대 중반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지역별로 가격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유가 상승세가 평양에만 국한된다고 할 수는 없다면서 평양의 경우 주유권을 사서 주유를 하는 방식도 있어 가격을 측정하기 쉽지 않은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는 최근 평양에 다녀온 외신 사진을 분석한 결과 주유소 앞에 기름을 넣으려는 차가 줄을 선 모습은 발견할 수 없었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쌀값과 환율은 비교적 안정적”이라면서도 “무역과 물가, 민생에 대한 영향은 시간을 두고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쌀값은 ㎏당 4천∼5천원대, 1달러당 환율은 8천원대 초반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통일부는 파악하고 있다.
쌀값 안정은 중국으로부터의 곡물 수입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북한의 중국으로부터의 식량 수입은 약 7만5천t(톤)으로 작년 동기(1만1천t)의 6.7배에 이르며, 작년 수입 총량(약 5만5천t)도 넘어섰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 11일(현지시간) 대북유류 공급 30% 감축, 북한으로부터의 섬유 수입 금지 등을 뼈대로 하는 결의안 2375호를 채택한 바 있다. 지난 8월 초에도 북한의 주요 광물과 수산물 수출 전면 금지 등을 포함하는 2371호를 채택했다.
이 당국자는 섬유 수출(2016년 7억5천만 달러) 제한과 기존 조치 등을 고려하면 작년 기준으로 북한 총 수출액(28억2천만 달러)의 90%가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그는 “북한은 제재에 대응해 자력갱생 구호를 부각하고 주민에 내핍을 강조하며 대내 결속을 도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지난 18일 노동신문 사설에 ‘자력갱생 대진군’이라는 용어가 등장했다고 지적하면서 7∼8월에 군사분야 행보에 집중했던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과수농장 방문 등으로 민생을 챙기는 모습도 연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이 중국과의 냉각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러시아와는 일정 부분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관찰하고 있다”면서도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북아메리카 국장의 러시아 방문과 관련해서는 “다자협상이나 대미관계에서의 특별한 함의는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이밖에 북한은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실명 비난은 자제하고 있지만, 우리 정부의 대북제재 동참을 비판하며 비난 수위를 다소 높이고 있다고 이 당국자는 설명했다.
북한은 남한 사람을 인용해서 ‘문재인 대통령’을 거론한 적은 있지만 직접적인 입장 표명에는 ‘현 집권자’나 ‘남조선 당국자’ 정도로 표현하고 있다고 이 당국자는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