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철(왼쪽)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6/07/SSI_20180607092526_O2.jpg)
연합뉴스
![김영철(왼쪽)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6/07/SSI_20180607092526.jpg)
김영철(왼쪽)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연합뉴스
연합뉴스
북미 양국은 이날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명한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정상회담의 결과를 이행하기 위해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관련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고위급 관리가 주도하는 후속 협상을 가능한 한 가장 이른 시일에 개최하기로 약속한다”고 밝혔다.
관심을 끄는 대목은 미국 측 협상 주체로 폼페이오 장관이 명시됐지만, 그의 북측 협상 상대는 특정인이 아닌 ‘관련한 고위급 관리’로만 언급된 점이다. 이는 일차적으로는 폼페이오 장관이 국무장관 직책으로 활동하고 있지만, 그의 실질적인 북측 카운터파트 역할은 리용호 외무상이 아닌 김영철 노동당 대남담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인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4월 하순 이전까지는 중앙정보국(CIA) 국장으로서 북미 간 물밑 조율을 미국 측에서 지휘했다. 이 과정에서 폼페이오 장관과 김영철 부위원장 간 ‘정보기관 라인’이 북미관계 전환을 주도하게 됐고, 그 영향으로 폼페이오 장관의 지난달 2차 방북과 김영철 부위원장의 최근 방미 때 두 사람이 ‘파트너’로 양자협의를 벌였다.
이 때문에 일차적으로는 폼페이오·김영철 라인이 북미 간 후속 협상에서도 주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특히 김영철 부위원장은 현재 김정은 위원장 체제에서 북한의 대외전략 전환 과정을 사실상 지휘하는 ‘총책임자’여서 후속 국면을 일정 부분 주도할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다.
그러나 북미가 정상회담 후속 협상에 들어가면서 북미관계가 ‘안정기’에 접어들면 정식 카운터파트인 리용호 외무상이 폼페이오 장관의 상대로 나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후속 협상에서는 정치적 결단을 필요로 하는 사안보다는 구체적 이행조치나 절차에 대한 협의에 초점이 맞춰질 수 있다는 점에서 통일전선부보다는 외무성의 관여 폭이 넓기 때문이다.
아울러 정보기관 수장인 김 부위원장이 외국 등에서 협상을 계속하기가 쉽지 않은 반면, 리용호 외무상은 상대적으로 외국행이 자유롭다.
당장 다음 달 말에서 8월 초에는 북미 외교장관들이 모두 참석하는 다자 협의체인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을 포함한 아세안 관련 연쇄 외교장관회의가 싱가포르에서 열려 리용호 외무상과 폼페이오 장관이 양자회담을 할 기회가 될 수 있다. 물론 북한 또는 미국 측이 상대국을 방문하거나 제3국에서 협상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북한의 국제관계를 총괄하는 직책은 원래 리수용 당 국제담당 부위원장인 만큼 리 부위원장이 폼페이오 장관의 카운터파트가 될 가능성도 일각에서 거론된다. 북미 양측은 후속 협상에서 이번 공동성명에 명시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미국의 ‘안전보장 조치’를 어떤 수순으로 교환할 것인지를 구체화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