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대통령, 편치 않은 설 연휴…안팎으로 난제 ‘수두룩’

문대통령, 편치 않은 설 연휴…안팎으로 난제 ‘수두룩’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2-01 12:15
수정 2019-02-01 12: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경수 구속’ 후폭풍 촉각…‘경제·민생’ 앞세워 국정동력 살리기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광주광역시청에서 열린 광주형 일자리 투자 협약식에 참석해 있다. 2019. 1. 31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광주광역시청에서 열린 광주형 일자리 투자 협약식에 참석해 있다. 2019. 1. 31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업무를 마친 뒤 2일부터 6일까지 닷새간 설 연휴를 보낸다.

문 대통령은 명절 기간 가족과 함께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서 연휴 이후의 정국을 구상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집권 중반기로 접어든 올해 연초부터 나라 안팎으로 난제들이 연이어 부상하고 있어, 문 대통령의 국정운영 고민이 한층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우선 최근 김경수 경남지사가 1심 실형 선고를 받는 등 설을 앞두고 청와대와 여권에 악재가 이어진 가운데, 민심의 동요를 최소화하고 국정운영 동력을 살리는 것이 문 대통령의 가장 큰 과제로 꼽힌다.

청와대에서는 김 지사 실형 선고에 특별한 입장을 내지 않고 신중하게 지켜보는 모습이다.

여기에는 청와대가 법원 판결에 대해 반발하기라도 한다면 자칫 3권분립 원칙을 흔드는 것으로 비쳐 오히려 여론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청와대는 그동안 국민청원 답변 등을 통해 “입법부나 사법부 관련 사항은 언급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더불어민주당이 재판 결과에 반발하는 것에도 청와대는 거리를 두고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여당은 여당대로 가고, 청와대는 광주형일자리나 북미정상회담 등 국정운영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의 사법부 공격이 잘못됐다는 지적도 있다’는 물음이 나오자 “그건 당에 따지라”라고 답하기도 했다.

이 관계자는 “청와대의 입장은 이미 김의겸 대변인이 밝힌 바 있다”며 이 문제에 대해 청와대에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뜻을 보였다.

이처럼 김 지사 판결에 대해 청와대가 거리를 두는 가운데, 문 대통령은 연휴 이후 경제·민생 행보에 집중하면서 민심을 다잡는 행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의 불안을 최소화하며 정부의 할 일에 집중한다면 분위기 반전의 계기도 마련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이런 연장선에서 문 대통령은 이번 연휴 기간 개각의 폭과 시기에 대해서도 깊은 고민을 거칠 것으로 보인다.

민생·경제 분야의 성과를 밑바탕 삼아 국정운영 동력을 살려가려면 개각의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는 2월말∼3월초 민주당 소속 장관들을 중심으로 해서 ‘5석+α’ 규모의 개각이 이뤄지리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문 대통령의 정책집중 의지를 드러내기 위해 개각의 폭이 이보다 커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개각시기 역시 빠른 분위기 전환을 위해 애초 계획보다 앞당겨질 것이라는 전망도 있지만, 반대로 북미정상회담 일정이나 인사검증 과정 등을 고려하면 3월 이후에야 개각이 가능하리라는 예상도 나온다.

국제무대로 눈길을 돌려보면, 문 대통령은 2월 말로 예상되는 북미정상회담 진척 상황을 파악하고 향후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구상하는 데 시간을 할애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북미간 협상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북미정상회담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물밑에서 조율하는 ‘중재자’ 역할을 수행할 전망이다.

북미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도 머지않아 성사될 가능성이 커, 청와대로서는 만반의 대비를 갖춰야 한다.

최근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한일관계 역시 문 대통령이 풀어야 하는 과제로 꼽힌다.

특히 다음달 1일에는 ‘3·1운동 100주년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행사가 예정된 만큼,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 어떤 메시지를 담을지도 이번 명절 기간 고민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