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방송공정성특위가 오는 30일 활동시한 종료를 앞두고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및 방송의 보도·제작·편성의 자율성 보장을 위한 여야 합의안을 도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방송공정성특위 이상민 위원장은 24일 오전 여야가 5대 5 동수로 추천한 전문가 자문단과 회의를 열어 중재안을 마련한 뒤 이어서 열리는 특위 전체회의에 보고할 계획이다.
자문단은 그동안 논의를 통해 KBS, MBC, EBS 등 공영방송사의 사장을 선임할 때 이사회의 3분의 2 혹은 4분의 3 이상 찬성을 가결 요건으로 하는 ‘특별다수제’ 도입 등에 의견 접근을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중재안이 전체회의에 상정되더라도 여야 간 조율이 필요해 최종 결론이 나기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방송공정성특위는 여야가 정부조직 개편안에 합의하면서 방송 공정성 확보 차원에서 지난 4월 구성됐으나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 등 정국이슈에 여야가 집중하면서 4개월 가량 제대로 활동을 못해 ‘공전특위’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특위는 지난달 13일 이후로는 매주 한 차례 전체회의와 소위원회 회의를 열어 논의에 박차를 가해왔으나 여야 간 입장 차로 난항을 거듭했다.
이에 따라 이 위원장은 여야가 동수로 추천한 자문단과 회의를 열어 별도의 중재안 마련에 나선 것이다.
이 위원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양당이 추천한 전문가들이 의견을 모은 중재안을 가지고 양당 지도부를 설득할 계획”이라며 “성과를 내기 위해 활동 기한을 연장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 위원장과 민주당 특위 위원들은 이날 오후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를 만나 특위 활동 내용을 보고하고 앞으로의 운영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방송공정성특위 이상민 위원장은 24일 오전 여야가 5대 5 동수로 추천한 전문가 자문단과 회의를 열어 중재안을 마련한 뒤 이어서 열리는 특위 전체회의에 보고할 계획이다.
자문단은 그동안 논의를 통해 KBS, MBC, EBS 등 공영방송사의 사장을 선임할 때 이사회의 3분의 2 혹은 4분의 3 이상 찬성을 가결 요건으로 하는 ‘특별다수제’ 도입 등에 의견 접근을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중재안이 전체회의에 상정되더라도 여야 간 조율이 필요해 최종 결론이 나기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방송공정성특위는 여야가 정부조직 개편안에 합의하면서 방송 공정성 확보 차원에서 지난 4월 구성됐으나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 등 정국이슈에 여야가 집중하면서 4개월 가량 제대로 활동을 못해 ‘공전특위’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특위는 지난달 13일 이후로는 매주 한 차례 전체회의와 소위원회 회의를 열어 논의에 박차를 가해왔으나 여야 간 입장 차로 난항을 거듭했다.
이에 따라 이 위원장은 여야가 동수로 추천한 자문단과 회의를 열어 별도의 중재안 마련에 나선 것이다.
이 위원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양당이 추천한 전문가들이 의견을 모은 중재안을 가지고 양당 지도부를 설득할 계획”이라며 “성과를 내기 위해 활동 기한을 연장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 위원장과 민주당 특위 위원들은 이날 오후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를 만나 특위 활동 내용을 보고하고 앞으로의 운영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