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주민1호 故최종덕씨 딸 경숙씨 인터뷰
최근 증개축 공사를 끝내고 준공식을 가진 독도 주민 숙소의 상주 거주민 증원 문제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일본이 독도 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에 회부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진 10일 최경숙(48) 최종덕기념사업회 사무국장을 만났다. 최씨는 첫 독도 주민인 최종덕(1925~1987)씨의 딸로서 독도 주민 숙소 입주를 희망하고 있다.
그의 집안은 3대(代)가 독도와 관련한 각종 기록을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독도와 각별한 인연을 갖고 있다. 아버지와 함께 독도에서 10여년간 살았다는 최씨는 주민 숙소 증개축 이후 독도에서 다시 생활하기를 간절히 소망하고 있다. 그는 “독도는 우리 집안의 독도 사랑 정신이 오롯이 살아 숨쉬는 곳으로, 앞으로 독도 주민으로 살면서 그 정신을 계승·발전시켜 나가고 싶다.”고 말했다.
→집안과 독도의 인연을 소개하면.
- 아버지가 1963년부터 독도에 터를 잡고 어업을 시작한 것이 계기였다. 1981년 10월 14일은 아버지가 독도로 주소를 옮겨 주민 제1호로 기록된 날이다. 1985년에 태어난 저의 아들 강현(26)이와 딸 한별(21)이는 고향이 정말 독도인 한국인으로 기록됐다. 한때는 3대가 독도에서 함께 생활했다.
→현재 독도와 관련해 하고 있는 일은.
- 2008년 기념사업회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최초 주민인 아버지의 유지를 받들기 위해서다. 이듬해 10월 ‘독도의 달’을 맞아 ‘독도 최초 주민 최종덕씨의 생활 자료 사진전’ 서울역 개최를 시작으로 국회 의원회관과 성남시청에서도 같은 전시회를 열었다. 연 2회에 걸쳐 기념사업회 회원 100여명씩 참가하는 ‘독도 서도 주민 삶의 현장’ 탐방 행사도 열고 있다.
→독도 주민 숙소 입주를 희망하는데.
- 아버지는 생전에 저에게 ‘평생 독도 주민으로 살아라.’는 유지를 남겼다. 자식에게 몸소 어렵게 가꾸었던 삶의 터전을 물려주고 싶었던 것 같다. 하지만 지금까지 그러지 못했다. 이제 아들·딸이 장성한 만큼 우리 부부가 독도에 살면서 그 뜻을 받들고 싶다. 독도의 산증인으로 남고 싶다.
→독도 주민에게 지원되는 혜택을 노린다는 오해도 받는데.
- 절대 그렇지 않다. 우리 가족은 본래 외부의 지원 없이도 독도 생활을 한 적이 있다. 이후 정부에서 지원을 강화한 게 괜한 잡음으로 번진 듯하다.
→현 독도 주민 김성도씨와의 관계는.
- 제가 어릴 때 울릉도 우리 집에서 김씨 가족과 함께 살았고, 김씨가 해녀들과 함께 부친 소유 어선(덕진호 2.22t)을 타고 독도 해역에서 일한 덕에 잘 알고 있다. 그런 인연으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일부에서 우리 사이가 나쁘다고 여기는 것은 오해다. 아버지가 독도에서 한 일들이 지금은 마치 김씨가 다 한 것처럼 왜곡됐지만 원망하지 않는다.
→주민 숙소 입주 자격이 울릉 주민으로 제한될 것으로 알려졌는데.
- 주민 숙소는 울릉 주민만의 숙소가 아니라 대한민국 영토 주권의 상징이자 국민의 숙소다. 정부가 기존 어업인 숙소를 주민 숙소로 명칭을 변경한 것도 그런 이유로 이해하고 있다. 마땅히 국민이라면 누구에게나 입주 지원 자격이 부여돼야 한다. 공모를 통해 선정하면 문제 될 게 없다.
→김씨 유고 때나 독도의 새 주민을 선정하려는 방침에 대해서는.
- 독도 주민 숙소 증개축으로 정주 여건이 크게 개선된 만큼 보다 많은 주민이 거주할 수 있도록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독도의 실효적 지배 강화를 위한 시급한 과제다. 독도에서 주민 2~3가구가 오순도순 사는 날이 하루빨리 왔으면 좋겠다.
글 사진 포항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2011-08-1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