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항의받고 착검 해제” 증언… 5·18 8년 이후 확인하고도 부인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시위 진압과정에서 소총에 대검을 장착했던 것이 군 내부 문건을 통해 처음으로 확인됐다. 군은 1988년 이런 사실을 내부조사에서 확인하고도 지난 38년간 공식적으로 부인해 왔다.![5·18의 눈물](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5/17/SSI_20180517172824_O2.jpg)
광주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5·18의 눈물](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5/17/SSI_20180517172824.jpg)
5·18의 눈물
제38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5·18 행방불명자 임옥환(당시 17세)군의 어머니가 오열하고 있다.
광주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광주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당시 여고생 이름 적힌 사망자 명단](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5/17/SSI_20180517172806_O2.jpg)
광주 연합뉴스
![당시 여고생 이름 적힌 사망자 명단](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5/17/SSI_20180517172806.jpg)
당시 여고생 이름 적힌 사망자 명단
5·18 민주화운동기록관에 전시된 사진 중 1980년 5월 광주의 한 병원 앞에 게시된 사망자 명단에 여고생과 대학생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
광주 연합뉴스
광주 연합뉴스
손 의원은 “5·18 당시 민간인 사망자 자료에서 칼같이 날카로운 물체에 찔린 ‘자상’이 최고 11명으로 계엄군이 진압에 대검을 사용한 것과 무관치 않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2018-05-1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