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 부임 땐 전쟁 걱정했는데… 남·북·미 대화할 줄이야”

“2년 전 부임 땐 전쟁 걱정했는데… 남·북·미 대화할 줄이야”

박홍환 기자
입력 2018-05-17 22:42
수정 2018-05-18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복귀 한달 남긴 행크 김 참모장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신선대 부두 인근 해군 작전사령부에는 주한미해군사령부가 함께 둥지를 틀고 있다. 주한미해군사는 원래 서울 용산기지에 있었지만 2016년 2월 19일 현재의 위치로 옮겨 왔다. 사령부 건물 앞에는 용산기지에서 함께 옮겨 온 충무공 이순신 장군 동상이 부산 앞바다를 바라보고 있다. 한·미 해군이 동거하는 이 같은 ‘한 지붕 두 가족’의 기틀을 세운 인물은 주한미해군사 참모장인 행크 김(45·한국명 김승환) 미 해군 대령이다. 김 대령은 다음달 미 본토로 귀임한다.
이미지 확대
행크 김 주한미해군사 참모장
행크 김 주한미해군사 참모장
김 대령은 17일 “2016년 부임했을 때는 북한이 거의 매주 미사일을 쏘며 위기가 최고조에 달했다”면서 “지금처럼 남·북·미가 평화를 거론하며 대화하는 모습은 도저히 상상할 수 없었다”고 부임 당시를 떠올렸다. 그는 “뉴스는 온통 전쟁 위기로 채워졌고, 미국에 있는 부모님은 ‘전쟁 난다는데 가족들이라도 먼저 들여보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매우 걱정했다”면서 “휴일도 반납한 채 비상근무의 연속이던 당시 상황이 잊히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에서는 위기가 고조됐던 그때가 한·미 해군의 공조와 협력에는 더할 수 없는 기회가 됐다고 평가했다. 특히 ‘사령부 동거’라는 전례 없는 환경은 ‘연합근무 체계’를 탄생시켜 정보, 작전 등 동일 임무를 수행하는 한·미 장병이 같은 사무실에 근무하며 교류·협력 및 공조를 대폭 강화할 수 있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김 대령은 “항모강습단 탑재 항공기의 공중 훈련을 위해 한국 측 협조를 얻기 위해서는 통상 4개월 정도 소요됐는데 이런 과정이 2주일로 대폭 줄었다”면서 “주한미해군사가 부산으로 이전하지 않았다면 불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연합근무에 난색을 표명하는 간부들도 있었지만 ‘시작하지 않으면 달성하지 못한다’며 시작해 보자고 독려해 지금까지 왔다”며 “이제는 한·미 양측 모두 매우 만족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한미해군사는 이 같은 한·미 동맹 발전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해 국군의 날에는 부대 창설 60년 만에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 부대 표창을 받기도 했다.

김 대령은 미국에서 나고 자란 이민 2세대이다. 한국인 정체성을 잊지 않으려 꾸준히 우리말과 한글을 익혔고, 4명의 자녀에게 김치 맛을 깨우쳐 주기 위해 한국 부임을 자원했다.

지난해 대령으로 승진한 그는 미 해군에 복무하는 한국계 가운데는 최상급자 중 한 명이다. 귀임 후에는 곧바로 하버드대에서 1년간 공로연수를 받게 된다. 복무 성적이 뛰어나기 때문에 미 해군 내 최초의 한국계 장성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 박홍환 선임기자 stinger@seoul.co.kr
2018-05-1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