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매체들이 7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중국 방문을 확인 보도하면서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한 줄도 언급하지 않아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북한 매체들은 이날 김 위원장이 랴오닝성 다롄(大連)시와 톈진(天津)시를 방문해 항구와 기업 등 현지 산업시설을 둘러본 소식을 매우 상세히 전했지만 정작 더 중요한 후 주석과의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철저히 함구했다.
반면 중국 신화통신은 북한 매체의 보도가 나오고 약 2시간 뒤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유리한 조건을 조성하기를 희망한다.”는 김 위원장의 발언 내용을 포함해 정상회담 소식을 자세히 전해 대조를 보였다.
방중 일정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정상회담 소식을 통째로 뺀 보도 행태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천안함 사건을 둘러싼 한.미.중 3국 사이의 미묘한 기류를 의식한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김 위원장의 방중 기간 한국과 미국이 공개적으로 “천안함 사건의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6자회담 재개는 없다.”는 입장을 강조한 상황에서 북한이 먼저 6자회담 복귀 검토 등 한반도 정세와 관련한 구체적 메시지를 내놓기 부담스러울 수 있다는 것이다.
장용석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은 “북한 입장에서 6자회담과 천안함 문제는 굉장히 부담스러운 의제”라면서 “굳이 대외적으로 얘기할 필요가 없다는 측면에서 일부러 뺀 것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장 실장은 또 “6자회담 재개 문제만 놓고 본다면 지금 북한이 복귀 입장을 내놓는다 해도 한국과 미국이 받아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면서 “이런 처지에서 구걸하는 듯한 건 안 하겠다는 뜻일 것”이라고 부연했다.
반면 전날 북.중 정상이 ‘조중 우의의 상징’인 가극 ‘홍루몽’을 관람하지 않은 것과 연관시켜,정상회담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없지 않다.
고려대 북한학과 유호열 교수는 “여러 상황으로 볼 때 북한이 자신들 기대만큼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자 불쾌감 내지 실망감을 느꼈다는 사실을 강조한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며 “겉으로는 김 위원장이 극진한 대접을 받은 것처럼 보이지만 구체적으로 들어가 보면 원하는 걸 제대로 얻지 못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런 ‘이상기류설’보다는 사전 조율을 거쳐 중요한 발표를 중국 측에 일임한 결과라는 분석이 우세한 분위기다.
북한은 자신들이 주안점을 두는 경협과 해외투자 유치의 의지를 집중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동북 지역 시찰 부분을 부각시키고,북핵 문제 등 나머지 현안에 대해서는 중국에 역할을 넘겼다는 것이다.
북한 매체들이 형식상 이번 중국 방문을 ‘동북 지역 방문’으로 규정하는 듯한 태도를 취한 것 자체를 올해 들어 주력해온 외자유치 노력과 연관짓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북한대학원대학교 양무진 교수는 “북한이 방중 성과를 동북3성 방문에 맞춘 것은 자신들의 관심 사항이 경협과 투자유치라는 시그널을 바깥 세계에 강하게 보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연합뉴스
북한 매체들은 이날 김 위원장이 랴오닝성 다롄(大連)시와 톈진(天津)시를 방문해 항구와 기업 등 현지 산업시설을 둘러본 소식을 매우 상세히 전했지만 정작 더 중요한 후 주석과의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철저히 함구했다.
반면 중국 신화통신은 북한 매체의 보도가 나오고 약 2시간 뒤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유리한 조건을 조성하기를 희망한다.”는 김 위원장의 발언 내용을 포함해 정상회담 소식을 자세히 전해 대조를 보였다.
방중 일정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정상회담 소식을 통째로 뺀 보도 행태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천안함 사건을 둘러싼 한.미.중 3국 사이의 미묘한 기류를 의식한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김 위원장의 방중 기간 한국과 미국이 공개적으로 “천안함 사건의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6자회담 재개는 없다.”는 입장을 강조한 상황에서 북한이 먼저 6자회담 복귀 검토 등 한반도 정세와 관련한 구체적 메시지를 내놓기 부담스러울 수 있다는 것이다.
장용석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실장은 “북한 입장에서 6자회담과 천안함 문제는 굉장히 부담스러운 의제”라면서 “굳이 대외적으로 얘기할 필요가 없다는 측면에서 일부러 뺀 것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장 실장은 또 “6자회담 재개 문제만 놓고 본다면 지금 북한이 복귀 입장을 내놓는다 해도 한국과 미국이 받아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면서 “이런 처지에서 구걸하는 듯한 건 안 하겠다는 뜻일 것”이라고 부연했다.
반면 전날 북.중 정상이 ‘조중 우의의 상징’인 가극 ‘홍루몽’을 관람하지 않은 것과 연관시켜,정상회담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없지 않다.
고려대 북한학과 유호열 교수는 “여러 상황으로 볼 때 북한이 자신들 기대만큼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자 불쾌감 내지 실망감을 느꼈다는 사실을 강조한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며 “겉으로는 김 위원장이 극진한 대접을 받은 것처럼 보이지만 구체적으로 들어가 보면 원하는 걸 제대로 얻지 못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런 ‘이상기류설’보다는 사전 조율을 거쳐 중요한 발표를 중국 측에 일임한 결과라는 분석이 우세한 분위기다.
북한은 자신들이 주안점을 두는 경협과 해외투자 유치의 의지를 집중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동북 지역 시찰 부분을 부각시키고,북핵 문제 등 나머지 현안에 대해서는 중국에 역할을 넘겼다는 것이다.
북한 매체들이 형식상 이번 중국 방문을 ‘동북 지역 방문’으로 규정하는 듯한 태도를 취한 것 자체를 올해 들어 주력해온 외자유치 노력과 연관짓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북한대학원대학교 양무진 교수는 “북한이 방중 성과를 동북3성 방문에 맞춘 것은 자신들의 관심 사항이 경협과 투자유치라는 시그널을 바깥 세계에 강하게 보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