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침묵에도 여권 “개각 불가피” 연말로 늦춰질땐 중폭 이상될듯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의 ‘사의 표명설’을 계기로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첫 개각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린다.진영 장관, 사우디와 보건의료 협력 서명
복지공약 후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조만간 사표를 제출할 것이란 소문이 돌고 있는 진영(왼쪽) 보건복지부 장관이 23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압둘라 알라비아 사우디 보건부 장관과 양국 간 보건의료 협력을 위한 제2차 합의 의사록에 서명한 후 악수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제공
보건복지부 제공
한 여권 관계자는 “인사 수요가 쌓이고 있는 만큼 개각설 역시 힘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특히 인선 시기가 연말까지 늦춰질 경우 개각 규모가 중폭 이상으로 커질 수 있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우선 지난 6월 새누리당을 중심으로 불거졌던 현오석 경제부총리 등 경제 라인에 대한 경질론이 ‘꺼진 불’이 아니라는 것이다. 국정과제 수행능력이 미흡한 일부 부처 장관에 대한 교체론도 나오고 있다. 여기에 지난 3월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의 중도 사퇴로 유임된 김관진 국방부 장관, 내년 6월 지방선거 출마설이 제기되는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 등의 거취 문제도 관심사가 될 수 있다.
다만 국민의 눈높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인사를 발탁하는 게 쉽지 않은 데다 국회 인사청문회 등을 거쳐야 하는 부담도 있는 만큼 개각 폭을 최소화할 가능성도 있다. 같은 맥락에서 개각 대상자를 한꺼번에 발표하는 ‘일괄 개각’이 아닌 인사 검증이 끝나는 대로 대상자를 교체하는 ‘순차 개각’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여권 관계자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줄곧 인사 논란이 불거져 왔다는 점에서 지난달 임명된 홍경식 청와대 민정수석을 비롯한 새로운 인사 검증 라인의 첫 시험 무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3-09-24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