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인양된 천안함 함미의 절단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온전하거나 파손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침몰 원인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군과 민간 인양팀이 오후 1시14분 바지선으로 옮긴 함미의 모습은 스크루와 선체 밑부분은 온전했지만 하푼 미사일 2기와 경어뢰 2발이 장착된 어뢰발사관 1문 등이 보이지 않았다.
침몰 원인을 규명해줄 절단면은 좌.우현 모두 파괴되어 예상대로 중앙부위 밑에서 강한 충격이 있었을 것으로 군과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선체 좌.우측에 각각 가해진 충격에 의해 선체 철판이 날아가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려났을 가능성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인 만큼 민.군 합동조사단의 정밀조사에서 가려질 것으로 관측된다.
일단 드러난 함미 절단면을 지켜본 전문가들은 외부충격에 의해 사고가 났을 가능성에 더욱 무게를 두고 있다.
함내에서 폭발이 있었다면 폭발지점 뿐 아니라 그 주변까지 파손되어야 하지만 인양된 함미 상태는 절단면 외에 외관상 파손된 흔적이 없어 일단 내부폭발 가능성은 없다는 것이다.
KAIST 해양시스템공학과 안충승 교수는 “선체 밑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절단면의 파손 상태로 봐서 내부폭발에 의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안 교수는 “내부 폭발이라면 폭발지점에서 그 주변까지 파손되어야 한다”면서 “선체를 동강 내려면 중어뢰 이상의 무기여야 하는데 절단면을 정밀 조사하고 파편을 찾아내 외부 충격의 원인을 밝혀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체 아래에서 버블제트 어뢰가 폭발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구체적인 분석도 나왔다.
윤연 전 해군작전사령관은 “외부에서 어뢰가 때린 것이 맞다”며 “직주어뢰라면 구멍이 뚫렸겠지만 파손 상태로 미뤄 이보다 발달된 버블제트 어뢰가 확실하다.배의 통로나 바닥에 깔린 초록색 우레탄이 갑판까지 솟구칠 정도의 충격이라면 어뢰가 맞다”고 주장했다.
윤 전 사령관은 “기뢰가 터졌다면 왜 한 발만 있었겠느냐”면서 “작전적으로 은밀성과 기습성을 고려하면 기뢰일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안기석 전 해군작전사령관도 “함미 절단면이 좌.우현이 모두 타원형 형태로 파손됐다”면서 “어뢰 등 외부에 의한 충격으로 보이는데 어떤 운반수단을 이용했는지는 앞으로 규명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금속 파편을 수거하는데 해군은 모든 역량을 쏟아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동해의 경우 내륙에서 400m까지만 나가도 평균 수심이 1천~1천400m에 달해 도저히 파편을 찾아낼 수 없지만 사고 해상은 서해상으로 수심이 낮고 해저에 모래가 많아 파편을 찾는 것이 수월할 것이라고 군 관계자들은 전하고 있다.
군은 이날부터 수중 잔해물 탐색을 위해 폭발 원점 반경 500m 이내를 정밀 탐색 중이며 무인탐사정인 ‘해미래호’를 투입했다.
민.군 합조단도 이날 함미가 탑재될 바지선에 현장조사팀 38명을 투입,본격적인 조사 활동에 돌입한 상태다.현장조사팀은 군 인사 26명과 민간인 10명,미국 조사요원 2명으로 구성됐으며,민간은 윤덕용 공동조사단장을 비롯해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요원 2명,함정구조 전문가 4명,폭발유형분석 전문가 3명 등이 포함됐다.
이들은 절단면을 중심으로 선체 전반에 대한 정밀영상을 촬영하는 등 선체 절단 원인에 대한 조사에 본격적으로 착수해 조만간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합뉴스
군과 민간 인양팀이 오후 1시14분 바지선으로 옮긴 함미의 모습은 스크루와 선체 밑부분은 온전했지만 하푼 미사일 2기와 경어뢰 2발이 장착된 어뢰발사관 1문 등이 보이지 않았다.
침몰 원인을 규명해줄 절단면은 좌.우현 모두 파괴되어 예상대로 중앙부위 밑에서 강한 충격이 있었을 것으로 군과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선체 좌.우측에 각각 가해진 충격에 의해 선체 철판이 날아가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려났을 가능성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인 만큼 민.군 합동조사단의 정밀조사에서 가려질 것으로 관측된다.
일단 드러난 함미 절단면을 지켜본 전문가들은 외부충격에 의해 사고가 났을 가능성에 더욱 무게를 두고 있다.
함내에서 폭발이 있었다면 폭발지점 뿐 아니라 그 주변까지 파손되어야 하지만 인양된 함미 상태는 절단면 외에 외관상 파손된 흔적이 없어 일단 내부폭발 가능성은 없다는 것이다.
KAIST 해양시스템공학과 안충승 교수는 “선체 밑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절단면의 파손 상태로 봐서 내부폭발에 의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안 교수는 “내부 폭발이라면 폭발지점에서 그 주변까지 파손되어야 한다”면서 “선체를 동강 내려면 중어뢰 이상의 무기여야 하는데 절단면을 정밀 조사하고 파편을 찾아내 외부 충격의 원인을 밝혀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체 아래에서 버블제트 어뢰가 폭발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구체적인 분석도 나왔다.
윤연 전 해군작전사령관은 “외부에서 어뢰가 때린 것이 맞다”며 “직주어뢰라면 구멍이 뚫렸겠지만 파손 상태로 미뤄 이보다 발달된 버블제트 어뢰가 확실하다.배의 통로나 바닥에 깔린 초록색 우레탄이 갑판까지 솟구칠 정도의 충격이라면 어뢰가 맞다”고 주장했다.
윤 전 사령관은 “기뢰가 터졌다면 왜 한 발만 있었겠느냐”면서 “작전적으로 은밀성과 기습성을 고려하면 기뢰일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안기석 전 해군작전사령관도 “함미 절단면이 좌.우현이 모두 타원형 형태로 파손됐다”면서 “어뢰 등 외부에 의한 충격으로 보이는데 어떤 운반수단을 이용했는지는 앞으로 규명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금속 파편을 수거하는데 해군은 모든 역량을 쏟아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동해의 경우 내륙에서 400m까지만 나가도 평균 수심이 1천~1천400m에 달해 도저히 파편을 찾아낼 수 없지만 사고 해상은 서해상으로 수심이 낮고 해저에 모래가 많아 파편을 찾는 것이 수월할 것이라고 군 관계자들은 전하고 있다.
군은 이날부터 수중 잔해물 탐색을 위해 폭발 원점 반경 500m 이내를 정밀 탐색 중이며 무인탐사정인 ‘해미래호’를 투입했다.
민.군 합조단도 이날 함미가 탑재될 바지선에 현장조사팀 38명을 투입,본격적인 조사 활동에 돌입한 상태다.현장조사팀은 군 인사 26명과 민간인 10명,미국 조사요원 2명으로 구성됐으며,민간은 윤덕용 공동조사단장을 비롯해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요원 2명,함정구조 전문가 4명,폭발유형분석 전문가 3명 등이 포함됐다.
이들은 절단면을 중심으로 선체 전반에 대한 정밀영상을 촬영하는 등 선체 절단 원인에 대한 조사에 본격적으로 착수해 조만간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