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조심한다고 되는 일이 아니었던 거야. 저것들 키우느라 얼마나 힘들었는데… 조마조마해서 도저히 못 보겠어.”
21일 경기 김포 대곶면의 한 젖소 사육 농가. 아침 일찍부터 시청과 수의과학검역원 등에서 나온 차량과 공무원, 수의사, 방역원들이 농가 안팎을 분주하게 오갔다. 이웃한 월곶면에서 한우가 대거 구제역 판정을 받으면서 주변 지역까지 검사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농장 밖에서 소독 및 검사 작업을 초조하게 지켜보던 농가 주인 김모(56)씨는 “발병 유무와 상관없이 이 지역 소들은 전부 살처분한다는 얘기가 있던데, 억울한 사람들이 생기지 않도록 신중하게 진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방역당국에서 김포 구제역 발생이 강화도와 직접 관계가 없다는데 믿을 수 없다.”면서 “바로 옆 군부대만 해도 매일 강화와 김포 전 지역에서 트럭 등 차량이 오고 가는데, 조사는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방역을 진행하던 시청 관계자는 “사태가 심각하다 보니 농가 주인들이 강하게 반발하지는 못하고 한숨만 쉬고 있다.”면서 “농가가 밀집된 지역이라 잠깐의 방심이 치명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구제역으로 인한 이 지역 주민들의 충격은 커 보였다. 월곶면 주민센터 관계자는 “구제역이 발병한 지역은 김포시가 지난해 5월 ‘다하누촌’이라는 한우 농가단지를 형성해 관광자원과 농가수익창출에 집중하던 곳”이라며 “지난여름에는 하루 평균 2000명 이상이 찾으며 성공적으로 정착하는 것 같았는데 불과 1년도 안 돼 이런 일이 터져서 다들 망연자실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통제도 강화됐다. 김포시는 현재 강화 및 김포 지역의 도로 전체와 농가 밀집 지역을 경찰과 함께 통제하고 있다. 특히 농가의 경우에는 방역복과 방역화를 착용한 극소수 관계자를 제외하면 출입 자체가 불가능하다. 다른 지역으로 통하는 모든 도로에도 차량 소독기가 작동되고 있다. 그러나 차량 안에 탑승한 사람들에 대한 소독절차가 없고, 대형 도로의 경우에는 가운데 차선까지 소독약이 미치지 않는 등 허점도 많아 보였다.
김포지역의 젖소농가에서 우유를 모아 처리하는 유류업체의 집하장과 처리장 등도 방역 대상이다. 유류업체 집하장에 출입제한선을 설치하던 한 방역원은 “이곳은 모든 농가에서 원유를 모아 외부로 옮기기 때문에 확산의 촉매가 될 수 있다.”면서 “하지만 인원의 한계와 장비 부족 때문에 방역이 완벽하다고는 볼 수 없다.”고 토로했다.
김포시청에 설치된 구제역 상황실에는 시청 담당 직원들은 물론 농식품부와 검역원 등에서 파견된 인원들이 실시간으로 상황을 확인하며 대책마련에 한창이었다. 벽에 걸린 상황판에는 이미 김포 지역 내 대부분 지역에 붉은색으로 구제역 확진 또는 의심 신고 농가가 표시돼 있었다. 상황실 관계자는 “일단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지역은 뚜렷한 증세가 없더라도 일일이 확인하고 있다.”면서 “더 이상 확산을 막기 위한 확산 저지 방역망을 더욱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1일 경기 김포 대곶면의 한 젖소 사육 농가. 아침 일찍부터 시청과 수의과학검역원 등에서 나온 차량과 공무원, 수의사, 방역원들이 농가 안팎을 분주하게 오갔다. 이웃한 월곶면에서 한우가 대거 구제역 판정을 받으면서 주변 지역까지 검사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구제역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21일 경기 김포시 월곶면 한 축산농가에서 김포시 방역차량이 구제역에 대비, 방역활동을 펼치고 있다.
안주영기자 jay@seoul.co.kr
안주영기자 jay@seoul.co.kr
구제역으로 인한 이 지역 주민들의 충격은 커 보였다. 월곶면 주민센터 관계자는 “구제역이 발병한 지역은 김포시가 지난해 5월 ‘다하누촌’이라는 한우 농가단지를 형성해 관광자원과 농가수익창출에 집중하던 곳”이라며 “지난여름에는 하루 평균 2000명 이상이 찾으며 성공적으로 정착하는 것 같았는데 불과 1년도 안 돼 이런 일이 터져서 다들 망연자실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통제도 강화됐다. 김포시는 현재 강화 및 김포 지역의 도로 전체와 농가 밀집 지역을 경찰과 함께 통제하고 있다. 특히 농가의 경우에는 방역복과 방역화를 착용한 극소수 관계자를 제외하면 출입 자체가 불가능하다. 다른 지역으로 통하는 모든 도로에도 차량 소독기가 작동되고 있다. 그러나 차량 안에 탑승한 사람들에 대한 소독절차가 없고, 대형 도로의 경우에는 가운데 차선까지 소독약이 미치지 않는 등 허점도 많아 보였다.
김포지역의 젖소농가에서 우유를 모아 처리하는 유류업체의 집하장과 처리장 등도 방역 대상이다. 유류업체 집하장에 출입제한선을 설치하던 한 방역원은 “이곳은 모든 농가에서 원유를 모아 외부로 옮기기 때문에 확산의 촉매가 될 수 있다.”면서 “하지만 인원의 한계와 장비 부족 때문에 방역이 완벽하다고는 볼 수 없다.”고 토로했다.
김포시청에 설치된 구제역 상황실에는 시청 담당 직원들은 물론 농식품부와 검역원 등에서 파견된 인원들이 실시간으로 상황을 확인하며 대책마련에 한창이었다. 벽에 걸린 상황판에는 이미 김포 지역 내 대부분 지역에 붉은색으로 구제역 확진 또는 의심 신고 농가가 표시돼 있었다. 상황실 관계자는 “일단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지역은 뚜렷한 증세가 없더라도 일일이 확인하고 있다.”면서 “더 이상 확산을 막기 위한 확산 저지 방역망을 더욱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04-2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