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정신의학회, 1006명 행복인식 조사
대한민국 성인들은 자신의 ‘행복 점수’를 낙제점에 가까운 68.1점(100점 만점 기준)으로 매겼으며, 더 행복해지기 위한 조건으로 여성은 건강을, 남성은 돈을 제시했다.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제42회 정신건강의 날을 앞두고 전국의 성인남녀 1천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행복과 스트레스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자신의 행복상태 점수를 90점 이상으로 높게 제시한 응답비율은 15.2%에 불과했고, 80~89점은 24.7%, 70~79점은 21.6%, 60~69점 9.5%, 50~59점 21.5%, 50점 미만은 7.6%였다.
응답자들은 또 지금보다 더 행복해지기 위한 조건으로 건강(32.7%)과 돈(31.8%)을 꼽았다. 특히 여성은 건강(37.1%)을, 남성은 돈(33.0%)을 행복의 조건으로 우선시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일상생활 중 얼마나 스트레스를 받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26.2%가 아주 많이(5.1%)’ 또는 ‘많이(21.2%)’ 받는다고 답했다. 성인 4명 가운데 1명은 평소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다는 뜻이다.
반면 스트레스가 적거나 거의 없다는 응답비율은 32.3%였다.
흡연자, 음주자, 운동을 하지 않는 층에서 스트레스 인지율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으로는 직업 문제(25.8%), 경제적 문제(21.5%), 인간관계(12.4%), 본인의 건강 문제(9.4%), 부모 및 자녀 문제(9.1%) 등이 꼽혔다.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예민·분노(25.7%), 피로감(17.0%), 불편(9.2%), 우울·슬픔(9.2%), 두통(8.8%) 순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해소할 때 함께하는 사람을 묻는 질문에는 혼자 해소한다는 응답비율이 48.3%로 가장 높았다. 친구(선후배·동료)와 함께 푼다는 응답비율은 34.6%, 가족은 14.2%, 연인은 2.4%였다.
스트레스 해소 방법으로는 운동(22.7%)과 음주(17.7%)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대화(10.8%), 잠(8.2%), 영화·TV 시청(7.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이처럼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음에도 정신과 상담이나 진료를 받고 싶었다는 응답은 전체의 16,6%에 불과했고, 이 중 실제로 상담·진료를 받은 비율은 29.9%에 그쳤다.
스트레스에도 정신과의 도움을 받지 않는 이유는 이 문제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 의향자 가운데 절반 이상인 56.4%는 ‘심각하게 생각되지 않아서’ 정신과에 가지 않는다고 답했고, ‘막연한 거리낌이나 두려움’(17.1%),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9.4%), ‘개인적 불이익이 두려워서’(5.1%) 등을 든 응답자도 있었다.
또 앞으로 상담을 받을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48.5%가 부정적인 답변을 내놓은 반면, 받을 의향이 있다는 비율은 29.7%에 그쳤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