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연극으로 시민들께 보답할게요”

“교육연극으로 시민들께 보답할게요”

입력 2013-02-22 00:00
수정 2013-02-22 00: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첫 여성 서울시극단장에 취임한 김혜련씨

김혜련 서울시극단장이 ‘연극은 시대의 거울이다’라는 글을 새긴 시계를 가리키며 단원들에게서 받은 선물로, 가장 아끼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김혜련 서울시극단장이 ‘연극은 시대의 거울이다’라는 글을 새긴 시계를 가리키며 단원들에게서 받은 선물로, 가장 아끼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시민들이 무엇을 바라는가에 극단의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시민들의 돈으로 짠 극단이잖아요.”

최근 취임한 김혜련(65) 서울시극단장은 21일 이렇게 말하며 활짝 웃었다. 첫 여성 서울시극단장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뭐 다를 게 있겠어요”라고 되물으며 “어머니처럼 ‘밥 먹고 나왔느냐’고 챙기는 등 자상함 정도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시민 연극교실을 활성화하는 데 더욱 애쓰겠다”며 ‘교육연극’을 강조했다. “시대의 화두를 연극으로 담아내 문화를 주도하도록 이끌어야 한다”면서 “예컨대 사기에 휘말려 증권 투자로 큰돈을 잃은 가장과 그 가족에 얽힌 이야기를 손꼽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설거지와 빨래하는 사람이 있어야 집안이 돌아가는 것처럼 내 임무도 그런 극단이 되게끔 행정적으로 뒷받침하는 일”이라고 밝혔다.

고려대에 입학하자마자 연극에 발을 들여놓아 1983년 ‘동아연극상’ 등 대한민국에서 내로라하는 수상경력도 있지만 체질인 ‘기획’에서 능력을 발휘하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했단다.

2학년 때인 1967년 루이지 피란델로(1867~1936·이탈리아) 원작의 ‘당신 생각이 맞겠죠’를 무대에 올리기 전 한 대기업을 찾아가 5만원의 협찬을 받아낸 에피소드를 떠올렸다. 1969년 결혼한 다음에는 아예 무대를 떠나 있었다.

그는 “인생을 모른 채 예술을 한다는 것은 허위라고 봤다”면서 “연극으로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육극을 해 보면 좋겠다는 생각도 이 무렵 가졌다”고 말했다.

극단 여인극장에 몸담아 1977년 소설가 이상(1910~1937) 원작의 ‘날개’에서 주역을 맡을 때까지 가정일에만 매달렸다.

1981년 차범석(1924~2006)이 연출한 ‘학이여 사랑일레라’로 미국 독립기념일 순회공연을 갔다가 그곳에서 본 실험극을 통해 예술인의 자유혼을 느끼곤 “꼭 다시 와야겠다”고 다짐했단다.

1985년 초등학교에 다니던 딸과 아들을 데리고 미국으로 떠나 뉴욕대 교육연극학 박사과정을 마쳤다. 2004년 귀국해 한국여성연극인협의회 이사 등을 거쳤다.

김 단장은 “1990년 미국에서 라디오 방송국과 다국적 극단을 창설하는 등 ‘엉뚱하게(?) 일을 많이 했다”며 또 웃었다.“무엇보다 1988년 뉴욕 청소년연극제 때 교포 2세가 800여명이나 몰려 모국의 문화 정체성을 찾는 데 도움을 준 기억을 빼놓을 수 없다”면서 “교육극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끝을 맺었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3-02-2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