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살 차이’ 방송대 신입생 박희옥 할머니·김겨레군
박희옥 할머니·김겨레군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 대학로의 한 카페. 한쪽에서 방송통신대 신입생의 스터디가 한창인 가운데 올해 최고령 합격자인 박희옥(74)씨가 손을 번쩍 들었다. 박씨의 책에는 형광펜 자국이 또렷하다. 그 모습을 흐뭇하게 보는 이도 있다. 박씨의 손자 김겨레(18)군이다. 두 사람은 지난 2월 방송통신대 미디어영상학과에 합격한 ‘13학번 동기’다. 할머니와 손자는 이날 오프라인 첫 수업부터 스터디까지 온종일 함께 한다. 김군은 “‘할머니는 열심히 하는데 넌 뭐하냐’는 말을 들을까 제일 걱정”이라면서 “사실 공부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는데 할머니 때문에라도 한 번 덤벼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대학 새내기’로 같은 출발선에 섰지만 두 사람이 걸어 온 길은 달랐다. 박 할머니가 ‘늦깎이 모범생’에 가까웠다면 김군은 소위 말하는 ‘문제아’였다. 8남매 중 셋째 딸로 태어난 박 할머니는 공부 기회를 쉽게 잡지 못했다. 6·25전쟁이 끝난 1953년 논산 중학교 입학통지서를 받았지만 큰오빠는 등록금을 아까워했다. 한번 놓친 펜은 쉽사리 다시 잡을 기회를 주지 않았다. 결혼 후 가족들과 먹고살기 위해 계란과 옷 행상에 매달렸다. 그렇게 세월은 갔다. 공부에 대한 열정을 다시 꽃피운 건 2009년 서울 청암중에 입학하면서다. 결국 4년 만에 청암고까지 졸업한 번듯한 대학생이 됐다.
하지만 김군은 방황이 길었다. 인문계 고등학교에 입학한 이후 늘 ‘문제아’라는 꼬리표를 달고 살았다. 지각도, 가출도 잦았다. 고2 겨울방학을 앞두고 손자에게 할머니는 대안학교를 권했다. 다행히도 학교는 김군을 변화시켰다. 김군은 “봉사활동과 국토대장정, 자서전 쓰기 등 많은 걸 경험하면서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고 나를 되돌아보는 시간이었다”고 회상했다.
남들에겐 문제아로 불리는 손자지만 할머니에게 가장 자상한 선생님이다. 박씨는 손자를 ‘김 박사’ ‘김 선생님’이라고 부르며 귀찮을 정도로 질문했다. 박 할머니는 “특히 영어는 우리 손자 덕을 많이 봤다”면서 “요즘은 온라인 강의가 많아 손자를 컴퓨터 선생님으로 모셔야 할 판”이라며 웃었다. 김군에게 할머니는 존경의 대상이다. 김군은 “밥 먹으면 게임 하기 바빴던 저와는 달리 할머니는 항상 책상 앞에 4~5시간을 앉아 계신다”면서 “모든 일에 열심이신 할머니를 생각하면 삶을 대하는 자세를 되돌아보게 된다”고 말했다.
두 사람의 목표에는 여전히 온도 차가 있다. 할머니의 목표는 1등, 손자의 목표는 졸업이다. “누가 뭐래도 저보다 더 특별한 대학 동기를 둔 사람은 없을 겁니다. 목표는 달라도 누구보다 즐겁게 학교 생활을 할 자신이 있습니다.” 손자는 할머니의 손을 꼭 잡았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3-03-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