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장 싸움’에 현대미술관 완공 마침표 못 찍어

‘담장 싸움’에 현대미술관 완공 마침표 못 찍어

입력 2013-08-22 00:00
수정 2013-08-22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화재 단체 “종친부 담장 복원”…주민 “일조·조망권 침해” 반발

오는 11월 개관하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담장 복원을 둘러싼 찬반 논란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미술계와 인근 주민들이 ‘담 없는 미술관’을 주장하는 반면 문화재 단체들은 문화재 보존을 이유로 반발하는 가운데 21일 문화재위원회가 현장 실사에 나섰다.
올 11월 개관을 앞두고 마무리 공사가 한창인 서울 종로구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미술관 뒤편 ‘종친부’를 둘러쌌던 조선시대 돌담의 복원을 놓고 지역 주민과 문화재 관련 단체 간 이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올 11월 개관을 앞두고 마무리 공사가 한창인 서울 종로구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미술관 뒤편 ‘종친부’를 둘러쌌던 조선시대 돌담의 복원을 놓고 지역 주민과 문화재 관련 단체 간 이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서울 종로구 소격동 옛 기무사 터에 건립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은 2460억원 규모의 국책사업으로, 국립미술관을 이곳으로 옮기는 것은 미술계의 숙원사업이었다. 그러나 미술관 터는 조선시대 ‘종친부’(宗親府·국왕의 족보를 보관하고 왕족을 관리하던 관청)가 있던 자리로, 이를 둘러쌌던 담장을 복원하는 문제로 논쟁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문화재위원회는 현장 실사에 이어 우리문화재바르게지킴이, 북촌문화마을가꾸기 등 문화재 관련 단체들과 주민들이 참여한 공청회까지 열었다. 문화재 단체들은 “미술관 뒤편 종친부의 북쪽(북촌로)과 동쪽(율곡로) 담장은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문화재”라며 “사적지로 지정하지 않고 방치하다 미술관 터로 지정했고, 터파기 공사를 하다가 그나마 남아 있던 담장이 무너지거나 복원을 전제로 해체됐다”고 담장 복원을 주장했다. 이에 인근 주민들은 “1971년 들어선 3.8m 높이의 기무사 콘크리트 담장이 헐린 지 3년밖에 되지 않았는데 다시 2.5m 높이의 담장을 쌓는 것은 일조권, 조망권 침해”라며 맞섰다. 이들은 연판장을 돌리고 시위를 벌이는 등 반발하고 있다. 소격동에서 50년간 살아온 권현표(75)씨는 “주민들은 이곳에 종친부나 담장이 있었다는 사실조차 알지 못한다”면서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을 거치며 종친부 담장은 허물어졌고 철조망이 처진 (기무사) 담벼락만 기억난다”고 말했다. 전두환 정권 때 종친부의 주요 건물은 인근 정독도서관 터로 강제 이전됐고, 대신 테니스장이 들어섰기 때문이다.

현재 종친부 주요 건물은 미술관 건립과 함께 원래 자리에 복원된 상태다. 문화재위원회는 미술관 측이 내놓은 중재안대로 경복궁 쪽 북촌로 담장은 일부 구간(65m가량)만 복원하고, 율곡로 쪽은 담장을 쌓되 높이에 대해선 주민과 다시 협의하기로 잠정 결론을 냈다. 하지만 최종 결정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황평우 문화유산정책연구소장은 “세계 어느 나라도 문화재 터를 밀어버리고 미술관을 짓진 않는다.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08-22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