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전 검거 당시 10대… 출소
친구들과 제주도 여행을 준비하던 유승미(31·여)씨는 지난 20일 한 게스트하우스의 인터넷 카페에 예약 문의 글을 남겼다. 그는 잠시 뒤 ‘예약이 가능하다’는 말과 함께 계좌번호가 적힌 문자메시지를 받았다. 그런데 문자메시지 속 계좌번호는 게스트하우스의 인터넷 카페에 안내된 것과 달랐다. 이를 수상히 여긴 유씨는 문자메시지의 발신자 번호로 확인에 들어갔다. 상대방은 유씨에게 “거래 은행을 변경하려는 중이라 임시 계좌를 알려 드렸다”고 답했다. 여전히 의심을 지울 수 없었던 유씨는 게스트하우스의 유선 번호로 또다시 확인했다. 하지만 게스트하우스의 진짜 주인은 아직 유씨의 예약 문의도 확인하지 않은 상태였다. 유씨가 문자메시지에 적힌 계좌번호의 명의자 이름을 인터넷으로 검색하자 2009년부터 다양한 수법으로 사기를 당했다는 사례와 조심하라는 업체의 게시글이 쏟아졌다. 유씨가 제대로 확인하지 않았다면 악명 높은 인터넷 소액 사기꾼 진모(21)씨에게 당할 뻔했다.진씨는 주로 포털사이트의 물품 거래 커뮤니티에서 물건을 팔 것처럼 속여 돈만 받고 물건을 보내지 않는 수법으로 사기를 쳤다. 그의 행적은 인터넷 사기 피해를 막기 위해 만들어진 신고·정보 공유 사이트 ‘더치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진씨의 이름으로 신고된 사례는 2007년 9월부터 지난 24일까지 45건이나 등록됐다. 신고된 총피해액은 1320여만원, 건당 피해액은 2만원부터 수백만원까지 다양했다. 피해 규모가 대부분 소액인 점을 감안하면 실제 피해 사례는 신고 건수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말부터 ‘더치트’에는 진씨 이름으로 피해를 당했다는 신고가 속속 등록됐다. 진씨의 범행을 인지한 경찰이 지난 10개월 동안 수사를 벌였지만 그를 붙잡지 못하고 있다. 진씨는 걸려 오는 전화를 받지 않고 자신이 문자메시지를 보낸 범행 대상에게만 전화를 거는 방법으로 경찰의 수사를 피하고 있다.
범죄심리 전문가들은 진씨가 이처럼 사기 범죄의 늪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는 이유를 왜곡된 가치관에서 찾고 있다. 곽대경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27일 “진씨가 어렸을 때부터 범행에 빠져 노동으로 돈을 번 경험이 없기 때문에 재범의 유혹에 빠지기 쉽다”고 말했다. 이어 “감옥 밖으로 나와 다시 현실과 마주하면 자신이 제일 잘했던 일로 생계를 유지하려 한다”면서 “어렸을 때부터 범행을 저질러 온 사기범들은 남을 속여 돈을 번 경험이 죄의식보다 크게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절도나 강도 등의 범죄에 비해 인터넷 사기 행각이 손쉬워 특히 재범에 빠지기 쉽다”면서 “인터넷 사기는 직접 범행 대상을 만날 필요도 없고 폭행을 하는 등의 수고를 하지 않아도 돼 가장 저지르기 쉬운 범죄”라고 설명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3-10-28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