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은행은 11일 포스단말기 해킹사고로 10개 금융기관의 개인정보가 빠져나간 것과 관련, “광주은행의 경우 개인정보는 새나갔지만 돈 인출 등 실제 피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경찰이 포스단말기 관리업체 서버를 해킹해 320만 건의 카드 거래 정보를 빼낸 일당을 최근 적발하면서 경찰로부터 관련 정보를 넘겨받아 분류한 결과 10개 은행 겸영 및 전업 카드사에서 10여만명의 고객정보가 빠져나간 것을 발견했다.
신한카드가 3만5천 건, 국민카드 3만3천 건, 농협카드 3만 건, 광주은행 1만7천 건 등이었고 IBK기업은행과 한국씨티은행에서도 수천 명의 정보가 빠져나갔다.
광주은행 관계자는 “이번 개인정보 누출 과정에서 광주은행 전산망이 직접 해킹된 것이 아니라 할인마트, 백화점, 편의점, 커피전문점 등에서 사용하는 포스(POS) 단말기 관리 업체 서버를 해킹해 카드정보를 빼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정보가 유출된 고객의 경우에도 절반은 해지, 재발급, 유효기관 경과, 분실코드가 설정돼 피해가 없었다”며 “나머지 절반도 부정사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 대응해 현재까지 금전적 피해는 없도록 조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은 경찰이 포스단말기 관리업체 서버를 해킹해 320만 건의 카드 거래 정보를 빼낸 일당을 최근 적발하면서 경찰로부터 관련 정보를 넘겨받아 분류한 결과 10개 은행 겸영 및 전업 카드사에서 10여만명의 고객정보가 빠져나간 것을 발견했다.
신한카드가 3만5천 건, 국민카드 3만3천 건, 농협카드 3만 건, 광주은행 1만7천 건 등이었고 IBK기업은행과 한국씨티은행에서도 수천 명의 정보가 빠져나갔다.
광주은행 관계자는 “이번 개인정보 누출 과정에서 광주은행 전산망이 직접 해킹된 것이 아니라 할인마트, 백화점, 편의점, 커피전문점 등에서 사용하는 포스(POS) 단말기 관리 업체 서버를 해킹해 카드정보를 빼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정보가 유출된 고객의 경우에도 절반은 해지, 재발급, 유효기관 경과, 분실코드가 설정돼 피해가 없었다”며 “나머지 절반도 부정사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 대응해 현재까지 금전적 피해는 없도록 조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