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키나와, 한국과 ‘아픔’ 비슷…민간 협력해야”

“오키나와, 한국과 ‘아픔’ 비슷…민간 협력해야”

입력 2014-08-21 00:00
수정 2014-08-21 09: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시하라 마사이에 오키나와국제대 교수

“한국과 오키나와는 역사적으로 비슷한 아픔을 겪었습니다. 한·일 양국 정부는 여전히 날이 서 있지만, 과거 피해를 본 민중들은 평화를 위해 계속 교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시하라 마사이에(石原昌家·73) 일본 오키나와국제대 교수는 21일 “한국과 오키나와의 역사 문제는 구조적으로 같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는 여전히 위안부 문제나 민간인 학살 등 자신들이 전쟁 중 저지른 잘못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고 있다”면서 양국 민간 교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시하라 교수는 이 대학 사회학과에서 44년 동안 학생들을 가르치며 태평양전쟁 당시 오키나와가 겪은 역사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오키나와는 종래 ‘류큐’(琉球)라는 독립국으로 한때 번영을 누렸지만 19세기 후반 일본에 병합된 뒤 태평양전쟁 말기 치열한 지상전이 벌어지면서 주민의 4분의 1이 희생됐다. 강제 병합, 전쟁 동원, 희생자 발생 등에서 우리나라와 닮았다.

그는 “일본 정부는 오키나와 희생 주민에게 잘못을 인정하는 ‘보상’ 대신 전사한 일본군을 도와주는 ‘원호법’을 적용해 지원했다”며 “일본군 때문에 죽은 것이나 마찬가지지만 마치 일본군을 위해 희생한 것처럼 속임수를 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시하라 교수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처럼 오키나와 희생 주민 5만4천여명을 전투 참가자에 준해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인 야스쿠니((靖國) 신사에 합사했다. 희생자들이 일왕을 위해 목숨을 바친 것으로 왜곡된 것이다.

그는 “전쟁을 피해 파 놓은 굴을 일본군이 빼앗아버리는 바람에 폭격에 숨진 주민이 마치 일본군에 군사 시설을 제공한 것으로 둔갑해 전투 참가자로 분류됐다”며 “이들은 전쟁 당사자로 취급되면서 과거 일본군의 범죄에 대해 책임을 물을 기회가 없어져버렸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2008년 오키나와 희생자의 유족 5명은 일본 정부를 상대로 야스쿠니 합사 철회소송을 내기도 했다. 이는 강제징용된 한국인이 야스쿠니 신사에 무단 합사돼 철폐 소송을 벌이는 것과도 비슷하다.

이시하라 교수는 이날 오전 서울 국회도서관에서 동북아역사재단 등의 주최로 열리는 ‘일본의 우경화와 야스쿠니 문제 대응을 위한 국제회의’ 참석차 전날 한국을 찾았다.

그는 이 자리에서 ‘야스쿠니 반대운동의 성과와 과제, 그리고 전망’을 주제로 오키나와의 사례를 들어 발표할 예정이다.

”일본을 위해 목숨을 바친 사람을 합사했다는 야스쿠니 신사에 의지와 무관하게 희생된 한국, 대만, 오키나와 주민이 합사된 것은 이곳을 만든 일본 정부의 목적과도 맞지 않습니다.”

일본 정부를 향해 그가 말하려는 요지는 뚜렷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