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에 학생수 700만명 아래로

저출산에 학생수 700만명 아래로

입력 2014-08-29 00:00
수정 2014-08-29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60년대 이후 처음 밑돌아 올 유치원~고교생 698만명

올해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학생 수가 698만여명으로 지난해보다 20만명 감소했다. 학생 수가 700만명 이하로 떨어진 것은 1960년대 이후 처음이다. 심각한 저출산의 영향으로 2020년에는 545만명 수준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부가 28일 발표한 ‘2014년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올해 4월 1일 기준 학생 수는 698만 6163명으로 지난해보다 20만 1221명 줄었다. 모든 학교급에서 학생 수가 줄었다. 특히 2005년 400만명에 달했던 초등학생 수는 9년 새 130만명 가까이 감소했다. 다만 출생률이 높았던 2007년 ‘황금돼지띠’들의 입학으로 초등학교 1학년 학생 수만 지난해보다 9.8% 증가했다.

최근 증가세를 보이던 유치원 원아 수는 지난해 7.2% 증가에서 감소세로 반전했다. 우리나라 학생 수는 1960년대 700만명을 돌파한 이후 1980년대에는 1000만명대에 진입했지만 이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학생 수 감소의 영향으로 학급당 학생 수는 유치원 19.7명, 초등학교 22.8명, 중학교 30.5명, 고등학교 30.9명으로 1980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대학, 전문대학 등 고등교육기관 433개교의 재적 학생 수는 366만 8747명으로 지난해보다 4만 989명(1.1%) 줄어 3년 연속 감소했다. 유치원, 초·중·고교 수는 204개(1.0%) 증가했다. 유치원이 148개가 늘어 학교 수 증가분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학교급별 여교사 비율은 유치원 98.1%, 초등학교 76.7%, 중학교 67.9%, 고등학교 48.9%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떨어졌다. 고교 졸업생 취업률은 지난해보다 3.3% 포인트 높아진 33.5%를 기록해 3년 연속 상승했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4-08-29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