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한글날… 외국인 한국어 교육자 3인의 ‘한국어 이야기’
‘모국어보다 한국어와 한글이 편한 우리, 비정상일까요? 하하하.’568돌 한글날… 국립한글박물관 개관
568돌 한글날을 하루 앞둔 8일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 개관식이 끝난 뒤 참석자들이 전시관을 둘러보고 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박물관으로 한글 관련 유물과 영상, 조형물 등 다양한 방식의 전시물을 선보인다. 매주 월요일 휴관하며 관람은 무료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서강대 한국어교육원 전임강사인 프라스키니는 외국인이면서도 전임으로 한국어를 가르친다. 이는 아주 드문 경우다. 2012년 고려대에서 박사과정을 마친 뒤 한국어 전임강사로 자리 잡은 데 대해 “운이 좋았다”고 말했다. ‘밑져야 본전’이라 믿고 지원했는데 덜컥 임용됐다. 그는 “‘과연 유학생들이 한국어를 이탈리아 사람에게 배우려고 할까’라는 조바심에 걱정이 많았지만 기우였던 것 같다”고 털어놨다.
이탈리아 베네치아대학에서 일본어를 전공한 프라스키니는 2003년 일본으로 어학연수를 떠났다가 일본이 아닌 한국의 매력에 빠졌다. 올해는 그가 한국에 온 지 꼬박 10년이 되는 해다. 프라스키니는 “로마, 나폴리, 베네치아 등 3개 도시의 대학에 한국학과가 설치돼 있다”며 “이탈리아어는 모음을 강하거나 길고 높게 발음하기 때문에 이탈리아 학생들에게는 한국어 발음이 가장 난제”라고 설명했다.
롱(서울대 사범대학 박사과정)은 호주 모나시대학에서 일본어를 전공한 뒤 통역가로 활동하다 2003년 돌연 한국행을 택했다. 그는 “다들 미쳤냐며, 가려면 일본을 가라고 했다. 그런데 한국이 끌렸다”고 한국어와의 운명적인 만남을 강조했다.
고려대 어학당을 거쳐 서울대에서 석사(2008년)를 수료한 뒤 홍콩의 평생교육원에서 6년간 한국어를 가르쳤다. 그는 “1970~80년대 홍콩 사람들은 일본어 배우기 열풍에 휩싸였지만 이제 한국어가 대세”라며 “홍콩 주민 710만명 중 6000~7000명이 한국어 교육기관에 등록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홍콩 사람들 역시 한국어를 배울 때 발음을 가장 어려워한다고 말했다. 그는 “굉장히 과학적이지만 글자를 통째로 외우는 방식으로 언어를 익힌 홍콩 사람들에게는 글자를 읽고 발음하는 게 가장 까다롭다”고 말했다.
일본어를 배우다 뒤늦게 한국어의 매력에 빠진 롱, 프라스키니와는 달리 응우옌(서울대 사범대학 박사과정)은 14년째 한우물을 파고 있다. 호찌민국립대 한국학과 전임교수인 그는 1992년 한국·베트남 수교 후 생긴 한국학과 2회 졸업생이다.
응우옌은 “지금은 베트남에 한국 기업이 많이 진출한 데다 한류 열풍도 있어 한국어를 배우려는 이들이 많지만 당시엔 황무지였다”면서 “그래서 더 애착이 강해진 것 같다”고 했다. 이어 “지금은 베트남의 13개 대학에 한국학과가 개설돼 있다”면서 “베트남에서 한국어교육학을 전공한 1세대로서 사명감을 갖고 더 많은 학생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고 싶다”고 말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4-10-0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