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국어는 서로 달라도 한국어 사랑하는 마음은 같아요”

“모국어는 서로 달라도 한국어 사랑하는 마음은 같아요”

입력 2014-10-09 00:00
수정 2014-10-09 02: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9일 한글날… 외국인 한국어 교육자 3인의 ‘한국어 이야기’

‘모국어보다 한국어와 한글이 편한 우리, 비정상일까요? 하하하.’



이미지 확대
568돌 한글날… 국립한글박물관 개관
568돌 한글날… 국립한글박물관 개관 568돌 한글날을 하루 앞둔 8일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 개관식이 끝난 뒤 참석자들이 전시관을 둘러보고 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박물관으로 한글 관련 유물과 영상, 조형물 등 다양한 방식의 전시물을 선보인다. 매주 월요일 휴관하며 관람은 무료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한글날 568돌을 하루 앞둔 8일 ‘한국어 선생님’ 니콜라 프라스키니(32·이탈리아), 폴리 롱(39·여·홍콩), 응우옌 티 후옹 센(36·여·베트남)을 만났다. 이들은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가 2011년 8월부터 3년에 걸쳐 국내외 한국어 교육자와 연구자들을 위해 펴낸 1440쪽짜리 ‘한국어교육학사전’ 집필에 참여한 한국어 전문가들이다.

서강대 한국어교육원 전임강사인 프라스키니는 외국인이면서도 전임으로 한국어를 가르친다. 이는 아주 드문 경우다. 2012년 고려대에서 박사과정을 마친 뒤 한국어 전임강사로 자리 잡은 데 대해 “운이 좋았다”고 말했다. ‘밑져야 본전’이라 믿고 지원했는데 덜컥 임용됐다. 그는 “‘과연 유학생들이 한국어를 이탈리아 사람에게 배우려고 할까’라는 조바심에 걱정이 많았지만 기우였던 것 같다”고 털어놨다.

이탈리아 베네치아대학에서 일본어를 전공한 프라스키니는 2003년 일본으로 어학연수를 떠났다가 일본이 아닌 한국의 매력에 빠졌다. 올해는 그가 한국에 온 지 꼬박 10년이 되는 해다. 프라스키니는 “로마, 나폴리, 베네치아 등 3개 도시의 대학에 한국학과가 설치돼 있다”며 “이탈리아어는 모음을 강하거나 길고 높게 발음하기 때문에 이탈리아 학생들에게는 한국어 발음이 가장 난제”라고 설명했다.

롱(서울대 사범대학 박사과정)은 호주 모나시대학에서 일본어를 전공한 뒤 통역가로 활동하다 2003년 돌연 한국행을 택했다. 그는 “다들 미쳤냐며, 가려면 일본을 가라고 했다. 그런데 한국이 끌렸다”고 한국어와의 운명적인 만남을 강조했다.

고려대 어학당을 거쳐 서울대에서 석사(2008년)를 수료한 뒤 홍콩의 평생교육원에서 6년간 한국어를 가르쳤다. 그는 “1970~80년대 홍콩 사람들은 일본어 배우기 열풍에 휩싸였지만 이제 한국어가 대세”라며 “홍콩 주민 710만명 중 6000~7000명이 한국어 교육기관에 등록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홍콩 사람들 역시 한국어를 배울 때 발음을 가장 어려워한다고 말했다. 그는 “굉장히 과학적이지만 글자를 통째로 외우는 방식으로 언어를 익힌 홍콩 사람들에게는 글자를 읽고 발음하는 게 가장 까다롭다”고 말했다.

일본어를 배우다 뒤늦게 한국어의 매력에 빠진 롱, 프라스키니와는 달리 응우옌(서울대 사범대학 박사과정)은 14년째 한우물을 파고 있다. 호찌민국립대 한국학과 전임교수인 그는 1992년 한국·베트남 수교 후 생긴 한국학과 2회 졸업생이다.

응우옌은 “지금은 베트남에 한국 기업이 많이 진출한 데다 한류 열풍도 있어 한국어를 배우려는 이들이 많지만 당시엔 황무지였다”면서 “그래서 더 애착이 강해진 것 같다”고 했다. 이어 “지금은 베트남의 13개 대학에 한국학과가 개설돼 있다”면서 “베트남에서 한국어교육학을 전공한 1세대로서 사명감을 갖고 더 많은 학생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고 싶다”고 말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4-10-0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