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치안 첨단기술 개발…70년만에 첫 R&D예산 투입

경찰, 치안 첨단기술 개발…70년만에 첫 R&D예산 투입

입력 2015-01-14 07:25
수정 2015-01-14 07: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22억 시작으로 5년간 179억5천만원…스마트 신호운영 시스템 등 개발

“음성·걸음걸이와 같은 특성을 통해 용의자를 탐지하는 시스템, 범죄현장을 3D로 분석해 전문 분석관들에게 전송해주는 3D 스캐너, 범인이 남긴 냄새를 포집해 보관한 뒤 용의자들의 체취와 비교해 범인을 특정하는 전자코...”

경찰이 이처럼 꿈 같은 첨단과학수사 기술·기법 개발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한다.

경찰청은 올해 22억원을 시작으로 향후 5년간 치안분야 연구·개발(R&D)에 모두 179억 5천만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지난해 경찰청장이 치안에 필요한 연구, 실험, 조사, 기술개발을 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이 개정됨에 따라 경찰 창설 70년 만에 처음으로 올해 R&D 분야에 예산이 편성됐다.

경찰청은 앞으로 5년간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지문이나 족적을 볼 수 있는 법광원(Forensic Light Source)과 폐쇄회로(CC)TV에 녹화된 영상 중 특정 영상을 추출하거나 용의자의 신원을 특정하는 ‘CCTV 영상 검색 고도화 및 신원확인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 교통량을 종합적으로 분석, 신호체계를 조작해 교통의 원활한 흐름을 가능케 하는 ‘스마트 신호운영 시스템’을 구축하고 치안분야 R&D 로드맵도 마련하기로 했다.

경찰청은 중장기적으로 ▲ 첨단과학수사 기술·기법 ▲ 현장대응 역량 강화 기술·장비 ▲ 범죄예방 및 안전관리 기술 고도화 분야에서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예컨대 지문·얼굴·홍채·망막·정맥 등 신체적 특성, 음성·걸음걸이 등 행동학적 특성으로 범죄자를 탐지하는 시스템,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해 범죄 현장을 3D로 보존하고 수집된 증거를 전송해 전문 분석관들이 실시간으로 증거분석을 수행하는 기술 등이 고려 대상이다.

또 범인이 남긴 냄새를 포집, 보관하고서 이를 용의자의 체취와 비교해 범인을 특정하는 기술, 과거 범죄 데이터를 분석하고 패턴을 파악해 범죄 발생 위험이 큰 장소와 시간 등을 예측하는 기술 등도 검토하고 있다.

경찰청은 우선 미래기획계장이 R&D 업무를 겸임하되 전담 부서를 신설하는 방안도 저울질하고 있다.

나아가 기존 경찰대학 부설 ‘치안정책연구소’를 ‘국립치안과학원’으로 확대 개편해 신설되는 ‘과학기술연구부’가 장비개발, 과학수사, 정보통신시스템 분야를 연구하도록 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