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3일 새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우병우 민정비서관을 내정한 것은 그의 업무 역량과 성품이 난맥상을 드러낸 공직기강을 다잡는 데 적합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관측된다.
작년 말부터 국정을 혼돈에 빠뜨린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문건 유출 사건과 최근 김영한 전 민정수석의 항명성 사퇴 파문으로 민정수석실은 정치 논란의 진원지처럼 여겨졌다.
대통령 보좌 업무 중 공직기강 확립과 대통령 측근 비리 관리, 인사 검증이라는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민정수석실이 제기능을 되찾도록 할 새 인물이 누구일지에 그만큼 관심이 쏠렸던 것도 사실이다.
우 내정자는 검찰 내에서 각종 비리 사정에 혁혁한 공을 세운 대표적인 특수통으로 꼽힌다. ‘사심이 개입하지 않는 원칙주의자’, ‘강직한 성격’, ‘추진력’ 등이 검찰 재직시 그에게 붙은 수식어들이다.
타협이 없는 성향 탓에 일각에서는 ‘호불호가 갈리는 인물’이라는 평가도 있다.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 수사가 ‘가이드라인’ 논란을 떠안고 진행됐지만 청와대 입장에서 더이상의 ‘악재’ 없이 마무리된 점을 두고 우 내정자의 업무역량을 높게 평가하는 시각이 있다.
조응천 전 비서관 등 전직 민정수석실 소속 인사들이 당사자인 사건이었는데도 엄정하게 대응했다는 평가가 청와대 안에서 나왔던 것이다.
이런 업무능력과 성품을 고려해 우 내정자가 새 민정수석으로 중용됐다는 분석이 뒤따른다.
흐트러진 공직기강을 바로 세우면서 더 이상의 인사 파동이 나지 않도록 사심없는 인사 검증이 이뤄지도록 하려면 추진력 있는 원칙주의자가 필요했다는 해석이다.
반면 우 내정자의 수사 경력과 재산 등이 논란을 빚을 것이라는 관측도 함께 제기된다.
우 내정자는 대검 중수1과장으로 재직하던 2009년 ‘박연차 게이트’를 수사하면서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을 직접 조사했던 검사였다.
전직 대통령의 서거로 끝난 이 사건은 수사의 내용이나 정당성 여부를 떠나 임채진 당시 검찰총장 등이 그 여파로 사퇴하는 등 검찰에도 상당한 후폭풍을 안겼다.
우 내정자가 화려한 수사 경력에도 검사장 승진에서 고배를 마시고 변호사로 개업했던 것은 이 사건의 여파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었다.
야권에서는 사건의 주임검사였던 그의 민정수석 내정에 대해 반발할 개연성이 높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우 내정자가 민정비서관에 내정됐을 당시에도 “민심을 전혀 이해 못하는 부적절한 인사”라고 비판했다.
또한 우 내정자는 지난해 8월 공개된 신규·퇴직 고위공직자 29명의 재산신고 내역에서 423억3천230만원을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재산이 공개되는 정부 고위공직자를 통틀어 재산이 가장 많다.
신고한 재산 중에는 비상장주식 3억여원을 비롯해 1천500만원 상당의 롤렉스 시계 등도 포함됐다. 2008년 작고한 이상달 기흥컨트리클럽(CC) 및 정강중기ㆍ정강건설 회장이 장인이다.
검찰 안팎에서는 이번 민정수석 내정이 검찰 인사의 진폭을 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우 내정자는 사법연수원 19기다. 올해 만 48세인 그는 대학 3학년 때 사법시험에 합격해 동기들 중에서도 나이가 가장 어리다.
연수원 13기·14기인 황교안 법무장관 및 김진태 검찰총장과 기수 차이가 꽤 있고, 현재 15∼17기가 포진한 고검장급 인사들보다도 기수가 낮다.
이 때문에 그가 민정수석에 내정되면서 조만간 단행될 검찰 고위직 인사에서도 대대적인 세대교체 바람이 불 것이라는 관측이 검찰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작년 말부터 국정을 혼돈에 빠뜨린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문건 유출 사건과 최근 김영한 전 민정수석의 항명성 사퇴 파문으로 민정수석실은 정치 논란의 진원지처럼 여겨졌다.
대통령 보좌 업무 중 공직기강 확립과 대통령 측근 비리 관리, 인사 검증이라는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민정수석실이 제기능을 되찾도록 할 새 인물이 누구일지에 그만큼 관심이 쏠렸던 것도 사실이다.
우 내정자는 검찰 내에서 각종 비리 사정에 혁혁한 공을 세운 대표적인 특수통으로 꼽힌다. ‘사심이 개입하지 않는 원칙주의자’, ‘강직한 성격’, ‘추진력’ 등이 검찰 재직시 그에게 붙은 수식어들이다.
타협이 없는 성향 탓에 일각에서는 ‘호불호가 갈리는 인물’이라는 평가도 있다.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 수사가 ‘가이드라인’ 논란을 떠안고 진행됐지만 청와대 입장에서 더이상의 ‘악재’ 없이 마무리된 점을 두고 우 내정자의 업무역량을 높게 평가하는 시각이 있다.
조응천 전 비서관 등 전직 민정수석실 소속 인사들이 당사자인 사건이었는데도 엄정하게 대응했다는 평가가 청와대 안에서 나왔던 것이다.
이런 업무능력과 성품을 고려해 우 내정자가 새 민정수석으로 중용됐다는 분석이 뒤따른다.
흐트러진 공직기강을 바로 세우면서 더 이상의 인사 파동이 나지 않도록 사심없는 인사 검증이 이뤄지도록 하려면 추진력 있는 원칙주의자가 필요했다는 해석이다.
반면 우 내정자의 수사 경력과 재산 등이 논란을 빚을 것이라는 관측도 함께 제기된다.
우 내정자는 대검 중수1과장으로 재직하던 2009년 ‘박연차 게이트’를 수사하면서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을 직접 조사했던 검사였다.
전직 대통령의 서거로 끝난 이 사건은 수사의 내용이나 정당성 여부를 떠나 임채진 당시 검찰총장 등이 그 여파로 사퇴하는 등 검찰에도 상당한 후폭풍을 안겼다.
우 내정자가 화려한 수사 경력에도 검사장 승진에서 고배를 마시고 변호사로 개업했던 것은 이 사건의 여파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었다.
야권에서는 사건의 주임검사였던 그의 민정수석 내정에 대해 반발할 개연성이 높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우 내정자가 민정비서관에 내정됐을 당시에도 “민심을 전혀 이해 못하는 부적절한 인사”라고 비판했다.
또한 우 내정자는 지난해 8월 공개된 신규·퇴직 고위공직자 29명의 재산신고 내역에서 423억3천230만원을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재산이 공개되는 정부 고위공직자를 통틀어 재산이 가장 많다.
신고한 재산 중에는 비상장주식 3억여원을 비롯해 1천500만원 상당의 롤렉스 시계 등도 포함됐다. 2008년 작고한 이상달 기흥컨트리클럽(CC) 및 정강중기ㆍ정강건설 회장이 장인이다.
검찰 안팎에서는 이번 민정수석 내정이 검찰 인사의 진폭을 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우 내정자는 사법연수원 19기다. 올해 만 48세인 그는 대학 3학년 때 사법시험에 합격해 동기들 중에서도 나이가 가장 어리다.
연수원 13기·14기인 황교안 법무장관 및 김진태 검찰총장과 기수 차이가 꽤 있고, 현재 15∼17기가 포진한 고검장급 인사들보다도 기수가 낮다.
이 때문에 그가 민정수석에 내정되면서 조만간 단행될 검찰 고위직 인사에서도 대대적인 세대교체 바람이 불 것이라는 관측이 검찰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