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일 만우절, 112 허위 신고 4년 연속 감소… 이유는 왜?

4월 1일 만우절, 112 허위 신고 4년 연속 감소… 이유는 왜?

이슬기 기자
입력 2016-04-01 13:24
수정 2016-04-01 13: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의도 지구대 112 생명수호팀이 지난 3월 29일 마포대교를 순찰하고 있는 모습.
여의도 지구대 112 생명수호팀이 지난 3월 29일 마포대교를 순찰하고 있는 모습.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만우절(4월1일)을 맞아 경찰에 접수되는 허위신고가 최근 4년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경찰청에 따르면 만우절 112로 걸려 온 허위신고는 2012년 37건에서 2013년 31건, 2014년 6건에 이어 지난해 5건까지 줄었다.

이날 오전 10시까지 경찰에 접수된 허위신고는 2건이다.

여자친구와 다투고서 “여자친구가 납치된 것 같다”고 한 신고, 입원한 친구가 면회를 받아주지 않자 “내가 사람을 흉기로 찔렀다”고 한 신고로 만우절과 직접 관련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만우절뿐 아니라 연중 허위신고 자체가 전반적인 감소 추세다.

112 허위신고 건수는 2012년 1만465건에서 2013년 7504건, 2014년 2350건으로 3년 내리 큰 폭으로 줄었다. 지난해에는 2927건으로 약간 늘었다

경찰은 공권력 낭비를 막고자 허위신고자를 추적해 경범죄처벌법 위반이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처벌한다. 상습 허위신고자는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등 강력히 대응하고 있다.

2014년에는 4년 동안 4654차례나 경찰에 허위신고 전화를 건 40대 남성이 경찰에 구속되기도 했다.

연간 허위신고 대비 형사처분 비율은 2012년 10.9%, 2013년 24.4%, 2014년 81.4%, 2015년 93.3%로 급격히 높아졌다.

경찰 관계자는 “시민의식이 높아진데다 허위신고자를 추적해 엄중히 처벌한다는 방침이 널리 알려져 허위신고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허위·장난전화로 경찰력이 낭비되면 실제 도움이 필요한 다른 시민이 피해를 본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