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 연차휴가 가운데 소진되는 비율은 절반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모두 사용할 경우 국내 생산 유발효과는 29조 3000억원, 신규고용 유발효과는 21만 8000명에 이를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1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내관광 활성화를 위한 휴가 사용 촉진방안 및 휴가 확산의 기대효과’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연차 부여 15일·실제 사용 7.9일
이번 근로자 휴가실태 조사 결과(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임금근로자의 연차휴가 부여일수는 평균 15.1일, 사용일수는 평균 7.9일로 52.3%의 사용률을 보였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의 평균 휴가일수가 20.6일, 휴가사용률은 70% 이상인 것과 비교할 때 낮은 수준이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휴가사용일이 5일 미만이라는 응답이 33.5%로 가장 높았으며,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는 응답자도 11.3%로 나타났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연차휴가 부여일수는 늘어났지만, 사용일수는 20대와 50대 모두 평균 7.7일로 차이가 없었다.
●45% “직장 분위기 때문에 못 써”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한 장애 요인으로는 ▲직장 내 분위기가 44.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업무 과다 또는 대체 인력 부족(43.1%), ▲연차휴가 보상금 획득(28.7%) 등의 순이었다. 연차휴가 사용촉진제를 시행하는 직장 근로자의 경우 평균 9.9일을 휴가로 썼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평균 6.8일밖에 사용하지 못했다. 연차휴가 사용촉진제를 도입한 기업 역시 35.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위한 사회적 분위기가 확산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우리나라 근로자 1400만명(고용노동부 고용노동통계포털 2016 상용근로자 기준)이 부여된 연차휴가를 모두 사용할 경우 ▲여가소비 지출액은 16조 8000억원 증가하고 ▲생산유발액은 29조 3000억원, 부가가치 유발액은 13조 1000억원 ▲고용유발인원 21만 8000명 등의 경제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국내관광 증가로 인한 생산유발액은 전체의 81%에 해당하는 23조 7000억원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민간기업, 공공기관 근로자 중 재직기간이 1년 이상인 임금 근로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3월 24~30일 설문조사 형식으로 이뤄졌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이번 근로자 휴가실태 조사 결과(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임금근로자의 연차휴가 부여일수는 평균 15.1일, 사용일수는 평균 7.9일로 52.3%의 사용률을 보였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의 평균 휴가일수가 20.6일, 휴가사용률은 70% 이상인 것과 비교할 때 낮은 수준이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휴가사용일이 5일 미만이라는 응답이 33.5%로 가장 높았으며,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는 응답자도 11.3%로 나타났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연차휴가 부여일수는 늘어났지만, 사용일수는 20대와 50대 모두 평균 7.7일로 차이가 없었다.
●45% “직장 분위기 때문에 못 써”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한 장애 요인으로는 ▲직장 내 분위기가 44.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업무 과다 또는 대체 인력 부족(43.1%), ▲연차휴가 보상금 획득(28.7%) 등의 순이었다. 연차휴가 사용촉진제를 시행하는 직장 근로자의 경우 평균 9.9일을 휴가로 썼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평균 6.8일밖에 사용하지 못했다. 연차휴가 사용촉진제를 도입한 기업 역시 35.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위한 사회적 분위기가 확산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우리나라 근로자 1400만명(고용노동부 고용노동통계포털 2016 상용근로자 기준)이 부여된 연차휴가를 모두 사용할 경우 ▲여가소비 지출액은 16조 8000억원 증가하고 ▲생산유발액은 29조 3000억원, 부가가치 유발액은 13조 1000억원 ▲고용유발인원 21만 8000명 등의 경제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국내관광 증가로 인한 생산유발액은 전체의 81%에 해당하는 23조 7000억원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민간기업, 공공기관 근로자 중 재직기간이 1년 이상인 임금 근로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3월 24~30일 설문조사 형식으로 이뤄졌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7-07-17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