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선위치발신기 끄고 ‘아찔 불법조업’…사고엔 신고도 못 해

어선위치발신기 끄고 ‘아찔 불법조업’…사고엔 신고도 못 해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1-01 11:37
업데이트 2018-01-01 11: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 나포 흥진호 등 어획량 늘리려 V-PASS 꺼둬

제주 추자도 해상에서 전복사고로 인명피해가 난 저인망어선은 조업이 금지된 해역에서 불법 조업했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북한 해역에서 조업하다 나포된 경주 감포 선적 흥진호와 비슷하게 어선 위치를 자동으로 발신하는 V-PASS도 출항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끊긴 것으로 조사됐다.

1일 제주지방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전남 여수 선적 저인망어선 203현진호(40t)가 뒤집힌 채 발견된 추자도 남쪽 15㎞ 해상은 저인망어선의 조업이 금지된 곳이다.

수산자원관리법은 어종 보호를 위해 제주 마라도를 시작점으로 서쪽으로 전남 홍도 서쪽 인근 지점을 연결한 안쪽 근해에서는 외끌이 저인망어선의 조업을 금지했다.

현진호가 전복된 채 발견된 지점은 서쪽 제주 해상의 조업금지구역 선을 침범, 적어도 수십 ㎞가량 안쪽에 있는 곳으로 추정된다.

특히 사고 선박이 출항한 직후 V-PASS가 끊긴 것으로 확인돼 불법 조업하려는 사실을 숨기려고 일부러 위치 발신기를 끄고 조업한 것은 아닌지 의심을 사고 있다.

이 선박은 지난해 12월 28일 오전 5시 36분 제주시 한림항을 출항하면서 V-PASS로 자동 출항신고를 했다.

그 이후 20분도 채 안 된 오전 5시 52분께 V-PASS가 꺼진 것으로 해경 조사결과 드러났다.

작년 11월 18일 북한 해역을 침범했다가 나포된 흥진호도 복어가 잘 잡히지 않자 고의로 북한 해역에 간 것으로 조사됐다.

흥진호도 V-PASS 등을 꺼두고 그 이전에는 위치도 허위보고해 정부가 북한 해역 침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현진호도 출항 직후부터 꺼진 V-PASS로 인해 전복사고 전후 아무런 조난 신고를 하지 못하고 승선원들이 차가운 겨울 바다에서 구조만 기다렸다.

다행히 인근을 항해하던 선박이 뒤집힌 선체를 발견, 해경에 신고하면서 신속하게 구조작업이 이뤄졌으나 자칫 인명피해가 더 커질 뻔했다.

제주해경청 관계자는 “출항 당시부터 조업할 때까지 V-PASS 등에 의한 어선의 위치 신호가 전혀 없었다”며 “노출을 막으려고 그랬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제주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추자도 해상 조업금지구역을 침범해 불법 조업하는 저인망어선은 한해 10척 안팎이 적발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