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 진행의 베테랑 이병덕씨
“토론할 땐 내 얘기를 하는 게 중요해요. 남을 적대적으로 몰아붙이는 데 시간을 쓰면 낭비죠.”이병덕 한국퍼실리테이터 연합회 회장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는 현재 중학교 3학년이 치를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형태와 수시·정시 비율 등을 공론화 과정을 거쳐 오는 8월까지 정하기로 했다. 첫 의견수렴 절차로 대전·광주·부산 등 권역별로 돌며 ‘국민제안 열린마당’을 이달 내내 열었다. 학부모와 학생, 교사, 대학 관계자 등이 참여해 자기 의견을 말하는 행사다. 열린마당은 이날 서울 이화여고 100주년 기념관에서 열린 서울권역 행사를 끝으로 마무리됐다. 이 회장은 지난해 서울시 미세먼지 토론회를 비롯해 국방부 참여예산, 보건복지부 혁신과제 토론회 등도 진행한 베테랑이다.
대입 정책을 다루는 공청회장은 분위기가 험악해지기 일쑤다. 내 아이의 현재와 미래가 걸린 문제여서다. 하지만 이번 열린마당은 비교적 차분했다. 참여자들이 토론 규칙을 잘 지킨 데다 이 회장의 진행 솜씨도 한몫했다는 평가다.
이 회장은 “딱 두 가지 룰을 확고히 지키면 토론회 분위기는 망가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경청’과 ‘엄격한 발언 시간관리’다. 이 회장은 “학부모나 교사, 학생들이 자기 의견을 말할 때 ‘내 얘기를 진지하게 듣는구나. 내가 정말 공론화 과정에 참여하고 있구나’ 하는 느낌을 받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다만 발언 시간은 한 사람당 3분으로 칼같이 제한했다. 무대 앞 대형 전자시계가 3분을 넘기면 제지하고, 마이크도 뺏는다.
5월 한 달간 열린마당 현장에서 전국 학부모들을 만난 이 회장은 그들이 입시 제도를 불신하는 이유를 느꼈다고 한다. “정보의 비대칭성이 불신의 가장 큰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이 회장은 “(입시 제도가 복잡해져) 예전보다 부모들이 아이 교육을 챙기는 데 시간을 더 들여야 하지만 노동시간은 그대로라 현실적으로 어렵다”면서 “학교를 찾아 교사 등과 얘기라도 해 봐야 오해가 안 쌓이고 정보도 얻을 텐데 그렇지 못하니 불만이 커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원전, 미세먼지, 입시 등 주요 정책 결정 때 공론화 과정이 최근 중요해졌다. 이 회장은 “세계적 흐름”이라고 말했다. 예전에는 공무원 등 전문가가 정책을 주도하면 믿고 따랐지만, 요즘은 인터넷 등 정보기술이 발달해 누구나 많은 정보를 접하다 보니 시민 설득과 참여 과정이 중요해졌다는 얘기다. 이 회장은 “우리 민족은 화백회의(신라 때 만장일치제 회의체)라는 동아시아의 커뮤니케이션 문명을 만든 사람들”이라면서 “토론을 통해 좋은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8-05-1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