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김홍일 前의원, 별세 직후가 아닌 49일 만에 국립묘지 안장

故 김홍일 前의원, 별세 직후가 아닌 49일 만에 국립묘지 안장

이기철 기자 기자
입력 2019-06-08 14:36
수정 2019-06-08 22: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DJ 장남 김 前의원, 국립5·18민주묘지서 영면
함세웅 신부 “5·18 고귀한 정신, 마음에 간직” 
이미지 확대
故 김홍일 전 의원, 국립 5.18묘지 안장
故 김홍일 전 의원, 국립 5.18묘지 안장 8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 제2묘역에서 열린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남 고(故) 김홍일 전 민주당 국회의원의 영결식에서 고인의 영정이 옮겨지고 있다. 민족민주열사 묘역에 임시 안장됐던 김 전 의원은 이날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으로 모진 고문을 당한 5?18유공자 자격으로 국립 5?18민주묘지에 안장됐다. 2019.6.8 연합뉴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남 고(故) 김홍일 전 민주당 국회의원이 8일 국립 5·18 민주묘지에 안장됐다. 지난 4월20일 타계한지 49일 만이다.

이날 5·18민주묘지 제2묘역에서 열린 영결식에는 부인 윤혜라 여사 등 유가족과 이용섭 광주시장,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 박지원 의원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영결식장에는 대통령의 근조기가 내걸렸으며, 제2묘역에서 도보로 5분 거리인 민족민주열사 묘역에서 고인의 영현(유골)을 옮겨오는 것으로 의식이 시작됐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영결식은 국민의례, 묵념, 조사, 헌화·분향 순서로 진행됐다. 유족과 조문객들은 성가를 부르면서 1980년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당시 공안당국에게 당한 고문의 후유증으로 여생을 고통 속에서 보내야 했던 고인을 기렸다.
이미지 확대
8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 제2묘역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남 고(故) 김홍일 전 민주당 국회의원의 영현(유골)에 유족이 흙을 뿌리고 있다.  민족민주열사 묘역에 임시 안장됐던 김 전 의원은 이날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으로 모진 고문을 당한 5·18유공자 자격으로 국립 5·18민주묘지에 안장됐다. 2019.6.8  연합뉴스
8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 제2묘역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남 고(故) 김홍일 전 민주당 국회의원의 영현(유골)에 유족이 흙을 뿌리고 있다. 민족민주열사 묘역에 임시 안장됐던 김 전 의원은 이날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으로 모진 고문을 당한 5·18유공자 자격으로 국립 5·18민주묘지에 안장됐다. 2019.6.8
연합뉴스
정부 대표로 조사한 국립 5·18 민주묘지 신경순 소장은 “이 땅의 민주화를 위해 겪으셨던 고인의 희생과 정신은 우리들의 가슴속에 영원히 함께할 것이다”며 “‘나는 천천히 그러나 쉬지 않는다’는 생전의 말씀처럼 하늘에서도 천천히 쉬지 않고 민주주의 등불 역할을 해주리라 믿는다”고 고인을 기렸다.

영결식이 끝난 뒤 묘역으로 옮겨진 고인의 영현은 고인과 39년간 인연을 이어온 함세웅 신부의 집전으로 천주교식 장례 미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땅에 묻혔다. 함 신부는 “고난 직전에 ‘내가 세상을 이겼다’ 하신 (주님의) 그 말씀 간직하며, 김홍일 요한을 땅에 묻는다”며 “5·18 고귀한 정신, 늘 마음에 간직하며, 남북의 일치와 평화통일을 위해 기도한다”고 말하고 참석자들과 함께 ‘님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며 고인을 떠나보냈다.

지난 4월 20일 71세로 별세한 김 전 의원은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으로 모진 고문을 당한 5·18 유공자로 국립 5·18민주묘지 안장 대상이었다.

그러나 2006년 나라종금 사건으로 유죄 판결을 받아 의원직을 잃은 전력 때문에 국립 5·18 민주묘지에 곧바로 안장되지 못하고 5·18 구묘역으로 불리는 민족민주열사 묘역에 임시 안장됐다. 보훈처 안장대상심의위원회는 지난달 25일 심의에서 김 전 의원의 유죄 전력이 국립묘지의 명예를 훼손하지 않은 수준으로 보고 안장을 결정했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