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개젓
질병관리본부는 “8월까지 확인된 A형 간염 집단발생 사례 26건을 조사한 결과 21건(80.7%)에서 환자가 조개젓을 섭취한 사실을 확인했고, 수거한 18건의 조개젓을 검사한 결과 11건(61.1%)에서 A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또한 “이 중 5건에 대해 유전자 분석을 한 결과, 환자에서 검출된 바이러스와 조개젓에서 검출된 바이러스가 유전적으로 가까움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즉 현재 전국적으로 유행하는 A형 간염의 원인이 바로 조개젓이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문제가 된 조개젓은 대부분 중국산으로 알려졌으나, 확인 결과 국산도 있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A형 간염 바이러스가 발견된 10개 조개젓 제품 가운데 9개가 중국산이었고, 1개가 국내산이었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이달 중 조개젓 유통제품에 대한 전수 조사를 시행할 계획이다. 다만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시일이 걸려 질병관리본부는 안전성이 확인될 때까지 모든 조개젓을 먹지 말 것을 요청했다.
식약처는 조개젓 생산 제조업체에 조개젓 제품의 유통 판매를 당분간 중지해달라고 요청했으며, A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된 제품은 회수·폐기하고 판매 중지하기로 했다.
올해 A형 간염 신고 건수는 1만 421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818명보다 7.8배 늘었다. 30~40대가 전체 신고 환자의 73.4%를 차지한다. 인구 10만명 당 신고 건수는 대전, 세종, 충북, 충남 순으로 높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바이러스에 오염된 조개젓을 충청 지역에서 먼저 섭취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게다가 충청 지역이 젓갈류를 선호하는 경향도 있어 환자가 더 많이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젓갈로 가공한 조개뿐만 아니라 일반 조개를 날로 먹는 것도 위험하다. 질병관리본부는 특정 해역에서 바이러스에 오염된 조개가 유통됐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A형 간염 바이러스는 뜨거운 물에서 조개껍데기가 열린 후 5분 이상 더 끓이면 사멸하지만, 날로 먹으면 바이러스가 그대로 체내에 흡수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조개를 반드시 익혀 먹을 것을 권고한다.
식약처 관계자는 “굴젓 등도 조사했지만 A형 간염 바이러스는 나오지 않았다”며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조개의 특성상 조개에서 A형 간염 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A형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평균 28일 후 증상이 나타나며 심한 피로감, 식욕부진, 메스꺼움, 복통 등이 생긴다. 소아는 감염되더라도 증상이 없거나 경증으로 앓고 지나가지만 성인은 70% 이상에서 증상이 나타나고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